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장지원 페이지/
🔧
About CS Tool (Notion & Git)
/
#03-1. Practice

#03-1. Practice

상위 항목
#04. Creat Version : init, add and commit
자료 진행 상황
reference
하위 항목
차수
5차시 실습
Tool
지금 우리는 f1.txt 파일을 만들고 commit을 해보았다. f2.txt라는 파일을 만들고 commit을 해보자. (내용과 버전 이름은 마음대로)
 

[Answer]

Open/Close
밑과 다르더라도 제대로 commit 되었으면 된다.
 
cp f1.txt f2.txt : f1.txt 파일을 copy해서 f2에 저장한다.
git status :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git add f2.txt : f2 파일이 add가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f2 파일을 add 시켜준다.
git commit : 두 번째 commit을 작성해준다. ( i + "commit message" + Esc + :wq )
 
f1.txt와 f2.txt 파일을 수정해보고 f1.txt파일만을 add해서 commit을 진행해보자. (내용과 버전 이름은 마음대로)
 

[Answer]

Open/Close
밑과 다르더라도 제대로 commit 되었으면 된다.
 
vim f1.txt : f1.txt 파일을 열고 수정을 진행한다. (insert부터 quit까지의 작업은 add에서와 동일하다 : i + 내용 입력 + esc + : + wq)
vim f2.txt : f2.txt 파일을 열고 수정을 진행한다. (insert부터 quit까지의 작업은 add에서와 동일하다 : i + 내용 입력 + esc + : + wq)
cat f1.txt : f1. txt의 내용이 잘 수정되었는지 확인해본다.
cat f2.txt : f2. txt의 내용이 잘 수정되었는지 확인해본다.
git status :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git add f1.txt : 수정된 f1 파일이 add가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f2 파일을 add 시켜준다.
git status : 다시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git commit : 세 번째 commit을 작성해준다. ( i + "commit message" + Esc + :wq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