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버전관리를 위한 버전 생성 작업이다.
[init]
프로젝트 환경을 만드는 과정이다.
Create Project folder
앞으로의 프로젝트 파일들을 저장할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어 보자.
pwd : 현재 위치해 있는 디렉토리를 알려준다.cd + folder_name : folder_name 위치로 이동한다.mkdir + folder_name : folder_name이라는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를 생성해 준다.process
pwd 명령어를 통해 현재 위치해 있는 디렉토리를 확인해보자.cd Documents (Documents 하위 디렉토리가 있다고 가정) Documents 디렉토리로 이동해보자.mkdir git_Lec1 를 입력해서 Documents 디렉토리에 git_Lec1 파일을 생성해보자.result
Documents 디렉토리에 git_Lec1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직접 C드라이브에 들어가서 확인해보자.
init
작업을 시작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작업을 시작할 때 사용해야 하는 명령어이다. init 명령을 입력하면 앞으로의 버전 정보가 기록 될 .git 폴더가 생성된다. 이는 절대 지우면 안된다. 지우게 된다면 지우게 된 시점까지의 버전 기록이 모두 삭제될 것이다.
git init : 깃에게 현재 디렉토리 버전 관리 시작을 알려준다.ls -al : 현재 버전 정보를 알려준다.위에서 만든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initializing을 진행해보자.
[add]
버전 관리할 파일을 등록하는 과정이다.
Create File
f1.txt 파일을 만들고, 그 안에 ‘1’이라는 텍스트를 작성해보자.
vim : VScode와 같은 editor이다. Editor의 초기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지금부터 이를 이용하여 파일 편집을 진행할 것이다.
vim + file_name : file_name 이름을 가진 txt 파일의 편집을 시작한다.i : 입력 상태가 된다.Esc (button) : 입력 상태가 풀린다.: + wq : 작성한 내용을 저장(write) 및 종료(quit)를 해준다.cat + file_name : file_name에 있는 내용을 확인해 준다.Process
vim f1.txt를 작성해보자. 편집 창 하나가 뜰 것이다.i를 입력하여 입력 가능 상태를 만들어 보자.‘123456789’를 작성해 보자.
Esc를 누르고 :wq를 입력하여 편집 창을 닫아 보자.result
cat f1.txt를 입력하면 123456789가 출력된다.Start Managing Version
위에서 만든 파일을 이용해 버전 관리를 시작해 보자.
git status : 버전 관리를 위해 작성해야 할 가장 초기 명령어 이다.만약 이 명령어를 작성하게 된다면, 깃은 “Untracked files: f1.txt”라는 문장을 출력할 것이다. f1은 버전 관리가 되고 있는 디렉토리 안에 존재하지만 깃은 이를 무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add 명령어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git add file_name : 깃이 파일 관리를 시작하게 된다.이런 기능이 왜 필요할까? 자동으로 추가 된다면 더 편하지 않을까?
‘임시’의 파일을 제외하기 위한 목적이다.
Modify File
위 파일을 수정해 보자. (in practice)
vim f1.txt 명령어를 이용해서 수정하면 된다. 이 때 git status 를 입력하면 “modified: f1.txt”라는 경고문이 출력되게 된다. 우리는 바로 commit을 진행하면 안되고, 파일을 생성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f1.txt file을 다시 add하고 commit을 진행해 주어야 한다.add를 마치고 나면
git status 를 입력했을 때 출력되는 “modified: f1.txt” 문장이 초록색으로 변하게 된다. (어쨋든 파일을 수정하더라도 add를 진행해 주어야 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Commit]
버전 관리를 시작한다.
Version?
버전이란 무엇일까?
의미 있는 변화가 있는 상태. 즉 만들다 만 상태는 버전이라고 할 수 없다.
지금부터 중요하게 여길 문제는 아니지만 나중에 더 deep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면 의미있는 버전이 무엇인지 곰곰히 생각해가며 저장해 나아가도록 하자.
Commit
버전 관리의 메세지를 적는 과정이다.
이 버전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적는 과정이다. (메세지는 간결하지만 내용이 풍부해야 한다)
git commit : vim 편집 창을 띄워준다.이후 과정은 Create file에서와 같다.
git log : 버전 생성을 확인해 준다. 생성자와 버전 이름 등의 정보가 담겨있다. (log에서 나가려면 q를 누르면 된다)Process
git commit를 작성해보자. 현재 버전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편집 창 하나가 뜰 것이다.i를 입력하여 입력 가능 상태를 만들어 보자.‘1’을 작성해 보자. (버전의 의미를 작성하면 된다. 여기서는 첫 번째 버전이라는 의미)
Esc를 누르고 :wq를 입력하여 편집 창을 닫아 보자.result
생성 메세지가 출력된다.
git log 를 입력하면 버전에 관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지금 진행한 건 간단한 예시일 뿐, 실제로는 더 복잡한 폴더나 파일들을 다루게 될 것이다)
리눅스 명령어로 이동 안하고, window 창에서 폴더 직접 타고 들어가서 우클릭+git bash 해도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