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장지원 페이지/
🔧
About CS Tool (Notion & Git)
/
#03-2. Additional Explanation

#03-2. Additional Explanation

상위 항목
#04. Creat Version : init, add and commit
자료 진행 상황
reference
하위 항목
차수
5차시 추가 설명
Tool
add를 사용하는 이유?

[Stage Area and Repository]

Q
add라는 과정은 번거롭게 왜 매번 수행해야 할까?
A
여러 개의 작업을 한 번에 commit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commit 하기 위해서
commit에는 하나의 작업을 담는 게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소스 코드를 수정하다 보면 commit할 시기를 놓칠 수 있다. 만약 add가 없다면 commit할 시기를 놓쳤을 때 그 때 까지의 모든 작업들을 한 번에 commit해야 할 것이다.
add를 이용하면 원하는 작업만 add한 다음 commit하면 되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notion image
하나만 add한다면 status는 위와 같을 것이다. 위 메세지는 현재 상태에서 f1.txt file은 commit이 가능하고, f2.txt file은 commit이 불가능하다는 걸 알려준다. 우리는 예제를 통해 위 상태에서 commit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f1.txt file은 commit이 되지만, f2.txt file은 commit이 되지 않는다.
Stage Area and Repository
commit을 진행하기 전, 즉 git add f1.txt를 수행했을 때 두f1과 f2는 밑과 같은 상태이다.
  • f1.txt : commit 대기 상태 (=Stage Area)
  • f2. txt : commit 대기 상태 X
commit을 한 이후에는 밑과 같은 상태가 된다.
  • f1. txt : commit 완료 상태 (=Repository)
  • f2. txt : commit 대기 상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