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챗 안내
- 4/5(화) ~ 4/10(일) 중 1일, 멘토님 시간에 맞추어 진행
- 이번주 주제는 간단한 자기 소개 및 지난 2주간 학습해보니 ‘내가 알던 지식과 달랐던 개념' 이야기하기
- 해당 개념에 대해 커피챗 전에 미리 노션으로 정리하고, 멘토님께 전달해 주세요!
내가 알던 지식과 달랐던 개념
임재현
- Array.prototype.shift()가 Queue 자료구조처럼 쓰이는 함수가 아니어서 실제로 연산에 O(n)이 소요된다는 점
- 비동기 처리를 위한 콜백 함수 실행 시에 에러가 발생하면 제대로 try...catch가 먹히지 않는다는 점(비동기 함수가 실행 컨텍스트에서 제거되어 caller를 찾을 수 없다는 점으로 인해)
try
setTimeout( () ⇒ {throw new Error(”error”), 1000})
catch
- Virtual DOM도 DOM과 마찬가지로 똑같이 탐색과 메모리에 소요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최적화가 필요하다는 점
나호석
- 배열의
shift
연산의 복잡도는 O(n)이다.
- url에 프로토콜 없이 주소만 입력하면
HSTS
를 확인해 리스트에 있으면https
로 접속한다.
- 제너레이터와 이터레이터를 사용하면 모든 탐색을 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까지만 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유창헌
- virtual DOM이 무조건 빠른 줄 알고있었는데 생각보다 빠르지 않다.
- let,const는 호이스팅이 일어나긴 한다.
- console.log(a) // a = undifined
- var a = 1
- console.log(b) // 메모리에 없다 ⇒ TDZ
- let b = 1
- 새롭게 알게된 지식: Promise, async, await
김지은
- let, const의 선언자체에서는 호이스팅이 일어난다는 점
- function a() {}
- X
- const b = () ⇒ {}
- undefined()
- const로 선언한 배열에 값을 추가할 수 있다는 점
- 배운 지식이 훨씬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