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기술면접 1일차(인수)

기술면접 1일차(인수)

11 : 14 ~ 44
  • 자기소개
  • 프로젝트 어떤거 했는지?
  • 프로젝트하면서 배운점?
    • 기술 스택, 프레임워크 자유롭게 선택
      • 기술 장단점 비교
  • 어떤 스택 사용?
    • React
      • 배워왔고, 익숙했음 → 개발 기간 고려했을 때 익숙했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게 나을 것 같았다
        • 다른 이유 들면 좋을듯
    • recoil
    • test → Cypress
    • Chart
  • React 장단점?
    • Virtual DOM → 렌더링 최적화
    • React.Memo → 해당 변화가 있는 부분만 리렌더링하도록 최적화
    • on/off할 때마다 요청 → 요청 중복되면 서버부담
      • 캐싱
        • 응답이 바뀌지는 않는지?
          • querystring 사용, 데이터는 변하지 않음
        • 캐싱된 데이터는 어디에 저장?
          • recoil 라이브러리 selector 기능 활용
  • React hooks 사용?
    • Class와 비교했을 때 장점?
      • Class 사용 경험이 없다 (비교 불가)
  • 리액트 Life Cycle 아는지?
  • 리액트 불변성 지켜야하는 이유?
    • setState가 비동기로 되기 때문에?
  • 기존 diffing 알고리즘은 n^3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는데 빠른 이유?

  • 클로저?
    • 중첩된 함수가 있을 때, 외부함수 변수에 접근 가능한 내부함수
  • 클로저 사용 경험?
    • 커링, 비공개 변수로 쓴다고 알기는하는데 사용해본적은 없다
  • 가비지 컬렉션?
    • 가비지 컬렉터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준?
      •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
        • → 참조되지 않는 경우!
      • 어떻게하면 가비지 컬렉터가 수거해갈까?
        • 연결 리스트를 사용해서..
        • → null 대입해서 참조를 끊어준다
      • 가비지 컬렉션이 사용하는 알고리즘
  • this?
    • 함수가 생성될 때 실행컨텍스트 안에 생성됨
    • 지정 안하면 전역, 특정값 설정은 bind로
      • apply, call, bind 차이점 아는지?
  • 자바스크립트는 싱글스레드?
    • 맞다
    • 비동기작업은 event loop를 통해 멀티쓰레드처럼 비동기 작업 수행
  • event loop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좋아하는 정렬 알고리즘?
    • 버블 정렬

  • 장단점?
    • 단점 : 미래에 대한 걱정이 많은 편 → 불안을 없애려고 계획하고, 시간을 미리 투자하려고 노력중
    • 장점 : 끈기, 과감한 도전
  • 개발자는 퇴직하면 치킨집을 차린다.. 인수님도 창업 관심있다고 하셨는데, 나중에 창업하실건가요?
    • 창업에 대한 열정 있다
    • 창업에 대한 생각이 있기는 한데,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하는것보다는 일과 병행해서 side project로 하고싶다
    • → 창업얘기 안하는게 좋을것같기도..?!
  • 네이버는 투잡불가능한데 괜찮?
    • 아이디어를 만들어본다는 점에서 충분히 할 수 있을거다.
    • 전문성 확보 이후 고민할 것
  • 단기, 장기적인 목표나 꿈이 있는지?
    • 개발자로서의 목표 : 개발자지만 자신이 잘할 수 있는 분야(차별점)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런걸 다지기 위해 여러 분야를 넓고 얕게 학습하고 배우는데 투자를 많이 하고싶다
      • ex. 최적화
      • 넓고 얕게 위험 발언..?
    • 나중에도 일과 삶의 밸런스가 맞게 살고싶다 → 개발을 통해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는 것에서 개인적인 성취도 느낀다. 개발 계속 하고 싶다.
  • 네이버에 뭘 기여할 수 있는지?
    • 네이버 팀에 기여하고 싶다. 팀에서 외부 스터디나 유의미한 포스팅 같은걸 사내에 공유하고, 새로운 자극을 팀원들에게 주고싶다.
    • 적극적으로 사내 스터디를 주도해서, 주위에 좋은 영향력 주고싶다
    • → 기여보다는 '하고싶은 일'에 좀 더 가까워보이는..?!
  • 네이버 지원 이유?
    • BizCIC → 산업공학과에서 데이터 다루는 일 배웠는데, 유의미한 데이터 찾아내는 과정이 재미있었고, 그런 방향에 흥미가 있어서 지원했다
    • 네이버 → 국내 IT 매출액이 가장 높고, 훌륭한 동료들이 많다.
  • 훌륭한 동료들이 있는지 어떻게 아는지?
    • fe-news, 컨퍼런스 봤는데 개발 기술 공유에도 앞장서고 있는 것 같고, 멘토님도 보니까 좋은 개발자들이 많아 보였다.
  • NHN, 카카오 가실 맘이 없는지?
    • 고민 할 것 같다. → ?! 위험발언
    • 1위를 앞다투고 있는 기업들이라 고민은 하겠지만, 네이버 시스템이나 팀에서 받았던 도움을 생각해봤을 때 최종적으로 네이버를 선택할 것 같다.
  • 네이버 입사했는데 생각보다 별로거나, 부당한 지시가 있다면?
    • 논의 해볼 것 같다. 사내 시스템 통해 최대한 해결하려고 할 거다.
  • 꾸준히 해온 것, 지켜온 가치관 있는지?
    • 꾸준히 하자
  • 최근 경험 중, 기존에 가졌던 생각을 바꿨던 경험? 기존 지식이 틀렸단걸 깨달은 경험?
    • 허세 거르기용 질문
    • 인턴 생활하면서 짧은 시간동안 불태우자고 마음먹었는데, 팀원분이 정해진 일과 안에서 해결하고, 일과 삶을 병행하는 것도 인턴이 배울 점이라고 말씀해주심
      • → 모든걸 열심히 하는것만 답은 아니다라고 깨달았다
    • 테스트 코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했는데, 테스트 코드에 두는 비용을 항상 고려해야한다는걸 깨달음
      • → TC가 반드시 필요한건 아닐 수 있다고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