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장지원 페이지/
📕
2024 UGRP
/
Member Page
Member Page
/
권태완
권태완
/
2024/01/31

2024/01/31

💡
어떤 아이디어로 접근할까?
notion image
그림투사검사(projective test)란 질문지법의 결점을 보완하는 검사로서 약한 자극이나 구성요소를 주어, 특별한 경계심을 일으키지 않고, 자유롭게 반응시켜서 개인의 욕구나 동기나 정서 등을 파악하려고 하는 성격진단의 한 방법이다.
 

[논문]

art therapy assessments and rating instruments.pdf
230.5KB
 

[내용]

Abstract
Goal: DDS(Diagnostic Drawing Series) 등급 시스템과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평가 시스템의 비교, 즉 FEATS(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평가 척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Keywords: Art therapy; Assessment; Rating scales; Diagnostic Drawing Series (DDS);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PPAT);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FEATS)
Introduction
1. Art therapy assessment(미술 치료 평가)
전문적인 심리 치료사가 내담자의 기능 수준, 강점, 문제점, 치료 목표, 치료 경과 정도를 파악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들을 일컫는 말.
2. Rating Instruments
DDS(Diagnostic Drawing Series)시스템은 3장의 그림으로 구성된 미술 치료 평가 척도를 일컬음. 첫번째 그림은 "재료를 사용하여 그림을 만들어라". 이것은 구조화되지 않은 작업이며 종종 Free Picture라고 불린다. 이 그림에서 일반적으로 내담자의 방어 시스템의 표현을 볼 수 있다. 두번째 그림은 "나무 그림을 그려라". 나무 그림은 구조화된 작업이므로 DDS에는 수십 년 간의 이전 연구와 연결되는 잘 알려진 projective drawing 작업이 포함되어 있다. 세 번째 그림은 "선, 모양, 색상을 사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그림으로 그려라"라는 지시 사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감정 그림이라고도 불린다. 반구조화된 작업으로 내담자에게 자신의 정서적 상태에 대해 직접 소통하고 이를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하도록 요청한다. 이를 23개의 기준에 따라 관리한다.
About us
Check out http://diagnosticdrawingseries.info! About us
https://diagnosticdrawingseries.info/About.html
Diagnostic Drawing Series - Drawing Analysis Form
Diagnostic Drawing Series - Drawing Analysis Form
 
DAPA(Descriptive Assessment of Psychiatric Artwork)는 자발적인 예술 작품(예: 모든 유형의 그림 또는 그림)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색상, 강도, 선, 면적 및 감정적 톤의 5가지 척도로 구성. DDS와 마찬가지로 DAPA에는 순서 척도가 있다.
notion image
 
FEATS(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는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를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척도이다. 척도는 총 14개 존재하며 아래는 그 중 3개의 예시이다.
notion image
 
평가 결과를 검증하고 피험자 점수의 신뢰성을 결정하려면 작품 평가를 위한 잘 구성되고 표준화된 척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평가는 그 시스템만큼 중요하다. 도구나 테스트가 유용하려면 신뢰성과 타당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신뢰도가 높은 테스트는 타당성이 낮을 수 있다. 즉, 결과는 매우 일관되지만 부정확할 수 있다. 신뢰할 수 있지만 검증이 제대로 되지 않은 장비는 전혀 쓸모가 없다. 유효하지만 신뢰할 수 없는 도구는 어느 정도 가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측정에 대한 신뢰성보다 타당성이 더 중요하다고 종종 언급되지만, 진정으로 유용하려면 도구가 합리적으로 타당하고 합리적으로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assessment 와 rating은 불완전한 과학이지만 일부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표준화된 측정 방법이 필수적이다.
3. The importance of assessment(미술 치료 평가의 이점)
표준화된 평가는 미술 치료 분야를 포함하여 개입과 변화를 다루는 모든 분야의 기본. 미술치료 평가는 패턴 관찰, 비교 데이터 생성, 신뢰성 및 타당성 문제 해결 측면에서 유익할 수 있다. 미술치료 평가는 패턴 관찰, 비교 데이터 생성, 신뢰성 및 타당성 문제 해결 측면에서 유익할 수 있다. 평가는 내담자의 기분과 심리 상태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진단 정보를 공개하는 데 사용된다.
Issues with art therapy asssessments
1. Critisms of the original assessment tools
투사 테스트는 심리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지만 몇몇 저자들은 의문스러운 연구 결과를 지적하면서 그 과학적 가치에 의문을 제기했다.(Betts(2005), pp. 16–20) Rorschach’s famous inkblot projective test (1921), theGoodenough-Harris Draw-A-Man Test (Harris & Roberts, 1972), the House-Tree-Person (HTP) Test (Buck, 1948),and the 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 (Murray, 1943). 미술치료 평가의 발전에 대한 심리투사검사의 영향을 고려할 때, 미술치료사는 심리학 분야에서 표현된 우려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 평가에 관한 철학적, 이론적 문제뿐만 아니라 방법론, 타당성 등에 관한 실무적 문제도 이미 제기되어 왔다.
2. Methodological problems with art therapy assessments(방법론적 문제)
미술치료 평가 도구의 일부의 문제는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엄격함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많은 도구는 일반적으로 타당성과 신뢰성을 뒷받침하는 데이터가 부족하며 신뢰할 수 있는 심리학 이론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McNiff, 1998). 예술을 통해 고객을 평가하기로 선택한 사람들은 경험적 과학적 탐구의 본질, 즉 성격 특성과 예술적 표현을 연결하는 발견을 설득력 있게 다루는 것을 무시하였고. 그 결과, 풍부하고 무작위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복제 가능한 결과 즉, 고객의 작품을 통해 고객의 진단을 정당화하는 통일된 결과를 낳았다. - MBTI처럼 한정된 범주에 사람을 몰아넣는 느낌. 미술 치료 평가가 만들어지는 형성기에 사용된 방법은 두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하나는 성격 특성에 기반을 둔 텍스트 접근 방식은 맥락에서 벗어났다는 것이다. 나머지 하나는 미술을 기분이나 진보의 반영으로 인식한 방법인데 이는 과학적 엄격함이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그림 이미지의 해석은 매우 주관적다. 진단이 충분히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한, 서로 다른 두 그림이 정신 병리학적인 범주와 관련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에는 많은 의문점이 존재한다. 투영 테스트에 대한 일관성 없는 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 상태가 모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은 측정 타당성 문제로 인해 입증하기 어렵다.
3.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issues with art therapy assessments(철학 윤리적 문제)
많은 실무자들은 예술 기반 평가의 사용이 비개인화적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도구들이 일반적으로 고객의 예술 작품에 대한 구두 설명과 같은 주관적인 요소를 포함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부 미술 치료사는 미술 평가 사용에 저항한다. 이들은 엄격하고 환원주의적 분류로 인해 예술 작품의 독창성과 의미가 사라지는 것을 두려워한다. 어떤 사람들은 애착 이론, 발달 이론과 같은 구성을 도출하는 개념적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들은 이론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내담자를 이해하는데 강점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뜨거운 논쟁은 미술 치료 학회 저널에서도 충분히 다뤄지고 있다.
4. The British perspective
영국의 심리치료사는 이러한 평가지표 사용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임
Avenues for improving art therapy assessments
실무자들이 앞으로도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사용하게 될 이유
본 논문에서 언급된 많은 사람들은 다양한 평가 도구들을 받아들인다면 장기적으로 그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더욱이, 평가 도구들이 아직 타당하고 신뢰할 수 없음에도 이것이 새로운 테스트가 생성되는 것을 막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행동이 성격 평가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는데, 이는 행동이 내담자가 치료를 받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자아개념 또한 평가해야할 특성이며 상징적이거나 개인적 성격특성도 조사해야한다고 제안되었다.
Neale과 Rosal(1993)은 1968년부터 1991년 사이에 출판된 투영 드로잉 기술(PDT) 주제에 관한 17개의 실증적 연구를 검토하고 평가했습니다. 연구는 사용된 테스트 유형에 따라 그룹화되었습니다. Tree-Person, 키네틱 가족 및 학교 그림, 독특한 PDT. HFD는 학습 관련 행동의 성과를 예측하고 학습 장애를 측정하는 데 있어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TP에는 문화적 편견이 없었습니다. 키네틱 가족 그림은 견고한 동시 및 테스트-재테스트 신뢰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고, 키네틱 스쿨 그림은 성취 척도와 상관될 때 강력한 동시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이한 PDT는 테스트 중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자는 연구의 엄격성을 향상시키는 네 가지 연구 방법을 확인했습니다(p. 47). (1) 변수 점수를 매기는 객관적인 기준의 사용; (2) 평가자 간 신뢰도 확립; (3) 다수의 피험자로부터 데이터 수집; (4) 이전에 연구된 투영 도면 도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확립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적절한 분석 절차의 중복. 이 네 가지 방법을 채택하면 미술치료사가 평가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되었습니다.
Neale and Rosal (1993) reviewed and evaluated 17 empirical studies on the subject of projective drawing techniques (PDTs) published between the years 1968 and 1991. Studies were grouped by the type of the test used: human figure drawings (HFDs), House-Tree-Person, kinetic family and school drawings, and idiosyncratic PDTs. HFDs were found to be reliable as a predictor of the performance of learning-related behaviors and as a measure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HTP was free of cultural bias. The kinetic family drawings were found to have solid concurrent and test-retest reliability, while the kinetic school drawings had strong concurrent validity when correlated with achievement measures. Idiosyncratic PDTs were found to be the weakest of the tests. The authors identified four research methods that improved the rigor of the studies (p. 47): (1) The use of objective criteria on which to score variables; (2) The establishment of interrater reliability; (3) The collection of data from a large number of subjects; (4) The duplication of data collection and appropriate analysis procedures to establish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of previously studied projective drawing instruments. It was suggested that adoption of these four methods would help art therapists to improve the quality of assessment research.
2. Computer technology and the advancement of assessment methods
미술 치료사 연구원 Linda Gantt와 Carmello Tabone은 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과 형식적 요소 미술 치료 척도(FEATS)를 위한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L. Gantt, 개인 서신 2004년 3월 10일). 이 사이트는 PPAT 평가(Gantt, 1990) 및 FEATS 매뉴얼(Gantt & Tabone, 1998)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평가 시트 및 관련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며 미술 치료사가 수집한 PPAT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합니다. PPAT를 축적하고 FEATS 점수 지침을 준수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미국에 기반을 둔 연구원들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규범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대표 표본의 개발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Summary
이 논문에서는 미술치료 평가와 그 적용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DDS의 순서 척도와 FEATS의 Likert/interval 척도를 비교하여 그 강점과 단점을 설명하였다. projective 기법은 측정 타당성 및 신뢰성 문제, 철학적, 이론적 문제로 인해 의문점이 많았다. 그럼에도 이러한 도구에 대한 지속적 접근을 통해 개선을 위한 여러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Conclusion
미술치료는 평가 및 평가 도구의 철저한 설계 및 적용을 이해하는 초기 단계에 있다. 내담자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어떤 형태의 미술 작품을 사용하던간에 미술치료사는 자신의 접근 방식과 사용하는 도구의 이점과 한계를 인식하여야 한다.
 
💡
이 척도방식들을 기존의 LLM 인공지능들에 파인튜닝처럼 적용하면 보다 정교하고 괜찮은 상담인공지능이 나올 수도 있을 것 같다. cnn을 통해 적용? 정적인 기준 뿐만 아니라 그림을 그리는 내담자의 표정, 그리는 순간의 떨림 등을 분석해서 전체적인 맥락을 부여하는 것도 좋을 것 같음. 근데 이를 위해선 표정을 통해 감정상태를 분석하는 기술 또한 필요.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