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배경
OTT 서비스 시장 변화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OTT 시장규모는 7,801억 원, 2021년은 1조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지난 8년간 연평균성장률(CAGR)은 무려 +28%에 달한다. 특히, 2016년부터는 산업 규모 성장률은 더욱 가속화됐는데, 넷플릭스가 한국에 들어온 2016년 이후 국내 토종 OTT 티빙, 웨이브 등이 출시되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OTT 이용률은 2020년 66.3%,2021년 69.5%, 2022년 72.0%로 상승했고, 이용자 중 유료결제 비율도 각각 21.7%, 50.1%, 55.9%로 높아졌다. 현재 인당 평균 5개의 OTT를 사용하며, 매월 결제 대상인 유료 구독형 OTT는 평균 2.7개로 조사됐다.
한편, 최근에 넷플릭스에서 계정 공유 제한 정책(거주지가 다른 사람에게 5000원 추가 이용료 부가)을 도입하면서 구독자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한 것과 반대로 유료 구독자는 오히려 더 많아졌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전세계 OTT 서비스 시장에서 가장 우위를 점하고 있는 넷플릭스가 공유 계정을 제한함과 동시에 구독료를 인상하는 행보를 보여주기 시작하면서, 그 외 국내외 OTT 서비스도 함께 구독료를 인상하거나 계정 공유를 엄격하게 감시하여 더 많은 투자 자금을 모으려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OTT 서비스 시장의 콘텐츠 전쟁이 더 과열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
한편 대부분의 OTT 서비스에는 리뷰 기능이 없거나 구독하지 않으면 리뷰를 볼 수 없도록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비구독자 또는 다른 OTT 서비스에 관심이 생긴 소비자들은 주로 해당 서비스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블로그 또는 유튜브의 무분별한 추천에 의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OTT 서비스 구독을 고려하고 있는 잠재적 소비자나 구독자들끼리 해당 서비스나 콘텐츠에 대한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피드백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장이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이용자 입장에서는 구독료 증가에 따른 경제적 부담 등으로 다중 구독에 대한 피로도는 증가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를 함께 공유하거나 어떤 서비스를 선택할지 같은 소비자에게 물어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므로
오왓(Owhat)
은 OTT 서비스 통합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소비자의 서비스 혹은 콘텐츠 선택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이용자 간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 OTT 서비스 구독의 즐거움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의의를 둔다.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디즈니 플러스, 쿠팡 플레이 등으로 개별 OTT 서비스를 한 곳에서 유료 구독자나 비구독자 할 것 없이 서비스 품질이나 콘텐츠 정보에 대해서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특정 장르나 영화에 대해 공유하는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비해 OTT 서비스 통합 커뮤니티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오왓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서비스 시장 조사
2.1 OTT 서비스 커뮤니티 웹/앱에 대한 조사
1) 4FLIX
정보 | 넷플릭스 커뮤니티 웹 사이트 |
특징 | 넷플릭스 장르, 영화 추천을 받을 수 있다. 넷플릭스 관련 팁이나 신작 정보를 받을 수 있다. |
단점 | 넷플릭스라는 플랫폼에 한정되어있음, 최근에는 다양한 OTT플랫폼에서 좋은 작품을 많이 방영해 사용자들이 넓게 분포되어있음 |

2) Kinolights (키노라이츠)
정보 | OTT 통합검색 및 영화 TV 프로그램 추천 앱 |
특징 | 콘텐츠 통합, 넷플릭스, 티빙 등 OTT 별로 인기있는 콘텐츠 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OTT 서비스의 다양한 콘텐츠 리뷰를 찾아볼 수 있다. |
단점 | 플랫폼별로 나눠지는 필터 또는 채널이 없어 사용자가 볼 수 없는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게시글이 존재함 → 볼 수없는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플랫폼 가입을 유도 가능하나 그 확률이 적음 |

2.2. 기존 서비스와의 비교 및 오왓 서비스의 차별점
- 기존 서비스의 문제점
- 커뮤니티 중 OTT 서비스를 주제로 하는 서비스는 거의 없었으며, 하나의 커뮤니티에서 여러가지 카테고리가 나뉘어져 있거나 ‘넷플릭스’라는 하나의 OTT 서비스만 타겟으로 소통을 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 통합 OTT 서비스로 다양한 콘텐츠를 추천해주거나 공유하는 서비스에서도 커뮤니티 기능에 집중되지 않아 OTT 서비스 이용자나 잠재적 이용자의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어있지 않다.
오왓
의 차별점오왓
은 각 OTT 서비스 별 채널을 형성하여 한 가지 OTT 서비스의 커뮤니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다른 OTT 서비스의 비구독자가 관심이 있는 OTT 서비스 채널도 구경이 가능하게 하여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정 OTT 서비스에 치중되지 않고 다양한 OTT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 팔로우/팔로워 및 채팅 기능을 통하여 자신이 팔로우한 글쓴이에게 정보를 쉽게 얻도록 하고 또한 유저끼리 일대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능
메인페이지

- OTT 플랫폼 별로 채널을 상단에 표시된다.
- 이를 통해서 플랫폼별 방영하는 드라마, 영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로그인/회원가입


- 메인페이지에서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누르거나
- 로그인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단 네비게이션의 마이 프로필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한다.
OTT 서비스별 포스트 / 댓글 작성

- 플랫폼별 게시글이 구분되고, 플랫폼에서 인기있는 드라마나 영화를 얘기하면서 정보를 얻거나 공유를 할 수 있다.
OTT 서비스별 포스트 작성 / 수정


- 이미지를 넣을 수 있어 더욱 정보를 디테일하고 공유할 수 있다.
알림 페이지

- 알림을 통해 더욱 빠르게 커뮤니티 활동의 변화를 알 수 있다.
검색 페이지


- 검색페이지에서 사용자와 포스트를 모두 검색할 수 있다.
메시지 페이지 / 사용자 목록 더보기 모달



-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고, 더보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전체 사용자를 보거나 접속중인 사용자를 볼 수 있다.
- 이를 통해 내가 원하는 사용자와 대화하고, 접속중인 사용자와 전체사용자를 볼 수 있다.
마이 페이지 / 특정 사용자 프로필 페이지





- 마이페이지에서는 자신의 프로필 이미지나 커버 이미지,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 상대방 프로필에서는 팔로우 신청을 할 수 있다.
- 현재 팔로우와 팔로워를 볼 수 있다.
User flow

🚀 Stacks
React.js
TypeScript
StroyBook
Tailwind CSS
- className을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클래스명과 관련한 컨벤션에 대해 고민하지 않아도 되고, 이를 통해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순수 CSS를 다루기 때문에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 사전에 정의된 스타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관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
React Query
- 캐싱을 통해 상태관리 가능한 점이 좋았다.
- 팀원간의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의 숙련도에 맞췄다.
- 새로운 라이브러리를 배우기 위한 목적
Vite
- 더욱 향상된 성능을 자랑한다.
- 개발 환경에서는 golang으로 작성된 esbuild를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 운영 환경에서는 rollup을 사용하여 더 촘촘한 단위로 빌드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Vercel
🛠 Tools
FigJam
Git
VScode
👥 Collaboration
GitHub
Notion
Discord
SWC 선택한 이유
(SWC(Speedy Web Compiler)는 Rust 기반의 고성능 자바스크립트/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입니다.)
- 속도가 빠르다.
개발 마일스톤
공통 UI 컴포넌트 개발 목록 - 약 22개
일정별 역할 분담
디자인 기간 | 중간점검 | 1차 개발 스프린트 | 2차 개발 스프린트 | 배포 및 QA 기간 | 최종 발표 | |
성민 | 디자인 시스템 제작, FigJam 디자인 | ㅤ | ㅤ | ㅤ | ㅤ | ㅤ |
준혁 | 디자인 시스템 제작, FigJam 디자인 | ㅤ | ㅤ | ㅤ | ㅤ | ㅤ |
범 | 디자인 시스템 제작, FigJam 디자인 | ㅤ | ㅤ | ㅤ | ㅤ | ㅤ |
희라 | 디자인 시스템 제작, FigJam 디자인 | ㅤ | ㅤ | ㅤ | ㅤ | ㅤ |
혜연 | 디자인 시스템 제작, FigJam 디자인 | ㅤ | ㅤ | ㅤ | ㅤ | ㅤ |
개별 역할 분담
성민
팀장
- 공통 컴포넌트 제작
준혁
팀원
- 공통 컴포넌트 제작
희라
팀원
- 공통 컴포넌트 제작
범
팀원
- 공통 컴포넌트 제작
혜연
팀원
- 공통 컴포넌트 제작
다현
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