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의 기본 자료형
- 부울 (bool) True(1), False(0)
- 수
- 정수 (int) 1, 2, 0, -1, -2, 10000, ….
- 실수 (float) <주의> 1은 int, 1.0은 float 3.14, 1.0, 6.02e23 (=6.02), ….
복소수
- 문자열 (str) ”” 또는 ‘’로 감싸진 글자 ”Hello, world!”
연산자(operator)
- 연산자는 데이터/값들에 대한 연산을 정의함
- 자료형에 따라 연산자가 정의됨
- 같은 연산자가 자료형에 따라 다른 동작을 하기도 함
- 연산자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피연산자(operand)를 가질 수 있음
- 예시
- 수에 대한 사칙연산 1 + 3 >> 4
- 문자열에 대한 사칙연산 ”Hello, ” + “world!” >> “Hello, world!”


변수
- 정의
- 어떠한 값(value) 혹은 객체(object)에 대한 이름
- 값 혹은 객체를 저장할 수 있는 이름이 붙어있는 메모리 상의 공간
- 변수에 값 혹은 객체를 대입한 후, 대입된 값 혹은 객체 대신에 변수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음
- 규칙
- 첫 글자: 알파벳 문자 혹은 밑줄(_)
- 나머지 글자: 문자, 밑줄, 숫자
- 대소문자를 구별
- python keyword는 제외 → 머 알아서 편집기상에서 적으면 색깔 변해서 알아볼 수 있을거임
- example 좋은 예) i, name_2, num1, …. 나쁜 예) 2things(숫자로 시작), two word(중간에 공백), my-name(중간에 하이픈), ….
- 대입(assignment)
a = 10greeting = “Hello~”와 같이 왼쪽에 변수명, 오른쪽에 값.a = 2 + 3과 같이 넣어도 됨.a = 5로 저장됨.
- 축약형
x += 5는x = x + 5를 의미함. 원래 변수 x에 5만큼 더한걸 다시 x에 저장하겠다는 뜻. + 대신 -, *, /, //, % 넣어도 됨.t *= 2 + 3은t = t * (2 + 3)와 동일
주의: 문자열과 변수
a = 42와 b = ‘42’로 변수 a, b를 만들었을 때 a와 b는 매우 다름!
a는 int type을 담고 있는 변수.
b는 str type을 담고 있는 변수.예제
예제 사용법
1. 예제는 문제와 조건을 읽어보고 코드를 따로 짜보며 생각해본다.
2. 코드를 완성했으면 문제 토글을 열어서 답을 확인한다.
3. 자신이 짠 코드와 비교하며 이해한다.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의 넓이 구하기를 코드로 구현해본다 [조건] 와 반지름 r을 변수에 저장해서 사용할 것 print( ) 괄호안에 값을 넣으면 출력 가능
표준 입출력
표준 출력 함수: print()
- 인자에 있는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고 줄을 바꿈
- print(@#$, end=” ”) print의 end기능을 사용하면 줄 바꾸는거 말고 다른걸로 바꿀 수 있다!
- 인자가 여러개면 사이에 빈 칸을 추가하고 출력함
- print(@#$, sep=” “) print의 sep기능을 사용하면 사이에 공백말고 다른걸로 바꿀 수 있다!
표준 입력 함수: input()
- 키보드 입력을 받아서 str 문자열 type으로 반환 → 변수에 대입하면 그 내용이 변수에 저장됨
- 괄호안에 인자가 있는 경우, 인자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주의: input은 str 문자열로 반환함
예를 들어,
age = input()으로 키보드 입력 23을 받았다고 하자.
그리고 변수 age에 들어있는 값으로 사칙연산(ex. +3)을 하고 싶어서 age += 3을 수행하면 TypeError가 뜬다. input으로 받은 age는 문자열이므로, 문자열에 3만큼 더할 수 없기 때문!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 ⇒ 형변환 시켜줘야한다.형변환
한 자료형에서 다른 자료형으로 변경하는 것.
- 형변환 함수: 바뀔형의 이름을 함수처럼 사용
int(): 인자를 정수형으로 형변환float(): 인자를 실수형으로 형변환str(): 인자를 문자열형으로 형변환
주의: 형변환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오류 발생
문자열 ‘abc’는 정수나 실수형으로 바꿀 수 없음!
type(): 자료형 확인하는 법
예제
예제 사용법
1. 예제는 문제와 조건을 읽어보고 코드를 따로 짜보며 생각해본다.
2. 코드를 완성했으면 문제 토글을 열어서 답을 확인한다.
3. 자신이 짠 코드와 비교하며 이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