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장지원 페이지/
🗑️
Trash
/
장지원, JANG JIWON
장지원, JANG JIWON
/학술 글쓰기/
Lec11

Lec11

 
 

1조 : 전동 킥보드 헬멧

 
1-1 연구 필요성 : 헬멧 미착용에 대한 이유 + 헬멧 미착용시 사고 위험성 늎음
1-2 연구 목적 : 전동 킥보드 사고로 인한 부상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1 선행 연구 검토 :
  1. 스마트 헬멧 : 킥보드와 헬멧 연결 시켜 헬멧 착용 안하면 킥보드의 전력이 차단 됨 → 강제성을 부여하는 건 부정적 인식을 심어줄 수 있음
  1. 헬멧 무료 대여 인프라 : 위생 문제 있음
 
  1. 연구 모형
  • 선행 사례 조사
  • 사용자의 니즈 파악
  • 현장 조사
  • 유입 시스템 도입
  • 시행 및 피드백
 
  1. 결과 및 시사점
올바른 문화가 형성될 것
 

2조 : 자율주행차 인프라

 
연구 목적은 연구 필요와 어떻게 연구할 것인지 적기
 
우리나라에게 어떤 인프라가 필요할지에 대한 연구
 
왜 테크노폴리스? : 시험 주행하기 위해서 적합한 도로 / 이동식 모빌리티, 학교 등의 ‘변수’들 많음
 
스마트 도로를 일반 차들은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 고속도로 위의 신호등 (O,X) 이걸로 구분 할 수 있음
 

3조 : 인공지능을 통한 연구 동향 분석

 
연구 목적 : 과학 기술원의 실질적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함
기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방법은 한계가 있음 → 너무 수작업임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하면 좋지 않을까
 
이론적 배경 : 자연어 처리
BERT임베딩 이용 : 이를 이용해서 자연어 처리를 하고
Kmeans clustering : 이를 이용해서 군집화
 
연구 방법 :
과학기술원 논문의 초록을 수집
의미를 가지지 않는 조사 등 불용어 제거 및 전처리
BERT 임베딩
clustering
군집을 시각화
 
연구 효과 :
연구자 → 트렌드 파악, 연구 방향성 설정
학생 → 진학 선택 (내가 가고 싶은 학교, 내가 하고싶은 연구를 하는 학교)
과기원 학생 → 연구 주제 선정 가능
과기원 및 연구 기관 → 학제 간 공동 연구를 통한 연구 분야의 확장
 
질문 :
왜 과학기술원으로 한정?
⇒ 데이터의 방대함 → 데이터를 필터링하기 위해
 
같은 의미의 다른 단어는?
⇒ 해결해야 함
 
키워드 반영
⇒ 과학자들이 이미 키워드를 적어놓았는데, 왜 이걸 다시 구분 하는 것임
 
연구 범주 하위는 왜 분석하지 않는 것?
 
선행 연구를 이용해서 기존 연구의 장점을 설명해야 함?
 

4조 : 고속도로 소음이 직박구리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목적 : 최근 새들이 사라지고 있어..!
 
배경 이론 : 새들이 사라지고 있어 !
 
가설 설정 : 도로 설정
 
연구 장소 : 직박구리 서식지
 
연구 모형 : 발성을 비교함
 
시사점 : 고속도로 소음이 직박구리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수 있음
 
질문:
직박구리 선정 이유 : 표본을 한정 시키기 위해, 둥지를 우리가 관찰하기 쉬움, 직박구리 소리를 우리가 쉽게 들을 수 있음
 
왜 굳이 도로에서 해 : 동물 복지 측면에서도 이게 좋을 듯 + 실험실에서 하면 이기 실제 환경에서도 유사한지 알 수 없음
 
직박구리가 조류 전체를 대입하기 힘들다 : 직박구리가 조류를 대표할 수 있다는 근거
 
직박구리 개체수의 문제가 주파수만의 문제인가 : 다른 이유도 있으면 좋을 듯
조류 다양성에 대한 점 : 이러한 다양성 제공할 수 있다는 점 명시해주면 좋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