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장지원 페이지/
📕
2024 UGRP
/
📝
회의록
/
📝
2024/05/13 회의록 (이것저것)
📝

2024/05/13 회의록 (이것저것)

 

[회의 주제]


[To-do]

 

[세부 내용 메모]

태완: Amusement
해당 설문지는 DGIST UGRP팀
"예술치료 인공지능 개발 및 유효성 검증 : 인간 의존성 최소화를 목표로"
에서 실시하는 자체 설문 조사로써
sketch data 수집
을 목적으로 합니다.
[설문 목적]
해당 설문 조사에서는 다음을 목적으로 합니다.
  1. 사진, 또는 그림을 통해서 의도된 감정을 느끼고 그 그림을 그린다.
  1. 예시 사진이 감정을 잘 표현하는지 평가한다
  1. 자신이 그린 그림이 의도된 감정을 잘 반영하는지 평가한다.
[설문 방법]
1. 예시 사진을 보고 유발된 감정을 생각해 본다.
2. 느낀 감정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려서 그림, 또는 이미지 파일로 첨부한다.
3. 예시 사진에 의해 유발된 감정이 실제 {감정}과 일치하는가에 대한 점수를 부여한다.
4. 그림에 {감정}이 얼마나 표현되었는가에 대한 점수를 부여한다.
인적사항은 분석 후에 전량 폐기됩니다.
 

Amusement
현재 설문자께서 응답하시는 페이지는 Amusement(즐거움)에 대한 감정을 그리는 페이지입니다.
Amusement(즐거움)은 사전 용어로 the feeling of being entertained or made to laugh(즐기거나 웃게 만드는 느낌)을 의미합니다.
이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할 때는 보통 화려하거나, 밝은 색을 많이 사용합니다. 사람들의 표정은 대체로 밝고 웃고 있는 표정입니다. 놀이동산, 수영장과 같이 즐길 수 있는 장소가 이 감정의 가장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지원: Awe
// Awe는 경외로움을 의미한다. "경외심"이나 "놀라움"을 의미합니다. 어떤 것이 매우 강력하거나 아름답거나 놀라운 느낌을 주어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존경하거나 놀라게 만들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자연의 아름다움, 위대한 예술 작품, 혹은 누군가의 행동이나 성격 등이 놀라움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Awe 그림은 대체로 다채로운 색깔을 가지고 있고(colorfulness), 밝기가 높으며(brightness), 놀라워 하는 사람들이 그림 속에 등장합니다(facial emotion). 또한 눈 덮인 거대한 산 같은 모습(scene type)이 많이 등장하고, 성(object class), 그리고 문제 정답을 맞추는 모습들이(human action) 그림 속에 많이 포함 됩니다.
// 해당 그림은 자신이 그린 그림을 평가하는 질문입니다. 자신이 그린 그림을 보았을 때 해당 감정, 또는 비슷한 감정이 느껴지셨나요?
// 감정 고를 때 랜덤으로 고르기!
// 위 사진들은 해당하는 감정을 주제로 한 사진들입니다. 위 사진들을 볼 때, " 해당 감정 "이 잘 느껴지나요?
호진: Contentment
Contentment는 “만족”으로 욕구가 충족되었다는 상태나 느낌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자신이 처해진 상황을 받아들인 상태를 말하며, 마음이 흡족하여 부족함이 없을 때 나오는 감정입니다. 만족은 처한 상황이 부정적이더라도, 만족함을 안다면 즐거울 것이고 주로 긍정적인 내용들을 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위 사진들은 해당하는 감정을 주제로 한 사진들입니다. 위 사진들을 볼 때, " 해당 감정 "이 잘 느껴지나요? (그린 그림들도 마찬가지)
 
아현: Anger
분노는 짜증, 격노 등을 아우르는 감정으로 지속적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는 상황이나 신뢰하던 사람에게 배신 당하는 등의 상황에서 보여지는 감정입니다. 미간, 눈 등이 찌푸려지는 것으로 표정에 많이 나타나며 붉은 계열의 색이 화를 의미하기에 많이 사용됩니다.
 

감정설명

  • Section head
    • 그림을 받는거니까 속성에 대한 간단한 설명 - 지원 st
    • 감정 tmi 적는 건 좋은데 속성이 너무 단언되어있으면 편향될 수 있으니까! → 속성 예시를 드는 대신에 풀어서 한국어로 설명해주자
      • 위 그림 여섯 장은 밑에 달린 주석 속성[Brightness(밝은 정도), Colorfulness(색의 다양함 정도), Scene Type(장면), Object Class(물체), Human Action(사람의 행동), Facial Emotion(사람의 표정)]중 하나가 중심이 된 사진들 입니다.
    • 근데 그렇게 하면 결국 한국어로 번역을 한다고 한들 무엇을 의도하는가 사람들이 모를 것 같음 → 경향성이 높더라도 이게 정답에 가깝지 않을까
    • 그림에 대한 자가진단을 할 때 5이상 나오게 하려면 경향 적는게
    • 제안) 앞에 간단한 테스트 하기
    • 제안) 아래 그림 같은 방식으로 표현하자?
    • notion image
      notion image
notion image
 
  • 속성을 왜 쓰지? : 피험자의 의도 파악 → 속성을 선택한다는 것이 사람의 마음을 대변할 수 있다
problem
  • → 순서 대로 정확
 
속성 X > 설명(의도)을 넣자, 속성은 나중에 우리가 달자!
section head의 감정 설명은 설문자가 내용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만!
 
 
 

[다음 회의 주제 및 To-do]

  • Amusement 정도를 기준으로 설문조사 마무리
  • 모델 고민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