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업 방식(Tip. 과제를 참고해 보기)
- PR 양식 정하기
- 인간의 실수를 막기 위해 미리 들어갈 수 있도록 설정해두면 좋겠음
- 코드 리뷰를 며칠 안에 할 것인지
- 기본 3일
- 급하면 슬랙으로 요청해주세요
- 커밋 컨벤션
- 참고
- feat: 기능 추가, 삭제, 변경(or ✨ emoji) - 제품 코드 수정 발생
- fix: 버그 수정(or 🚑 emoji) - 제품 코드 수정 발생
- docs: 문서 추가, 삭제, 변경(or 📚 emoji) - 코드 수정 없음
- style:
- test: 테스트 코드 추가, 삭제, 변경 등(or 🔬 emoji) - 제품 코드 수정 없음. 테스트 코드에 관련된 모든 변경에 해당
- etc: 위에 해당하지 않는 모든 변경, eg. 빌드 스크립트 수정, 패키지 배포 설정 변경 - 코드 수정 없음
- 코드 컨벤션(eslint, prettier, stylelint 등)
Commit Message를 작성하는 법
유형들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경우, 되도록 커밋을 분리한다. 분리가 어려운 경우 위 순서상 상위 항목의 유형으로 작성한다. (eg. 기능과 테스트가 모두 포함된 경우 기능으로 작성)
커밋 메시지 작성시 사용할만한 Emoji
마크다운으로 보기
- 브랜치 워크 플로우
- 문서화
- 협업 도구
- 무엇을 사용할 것인가
-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 사용 기술
- React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무엇을 쓸 것인지
- 스타일링 어떻게 할 것인지 등등
- 이 모든 규칙은 완벽히 지켜지 않더라도 괜찮고, 문제가 생기면 해결 못할 문제는 절대! 없습니다 마음 편하게 작업하셔요!!
- PR 규칙!
- develop 에서 작업할 브렌치 생성 (ex. feat/#1-text-component)
- remote에서 생성시 그냥 생성하고 fetch 받기
- 나의 로컬에서 생성 시 develop 브랜치 한번 pull 받고 생성 (내가 작업하는 동안 머지된 변경사항 받아와서 시작하기 위함)
- git fetch origin ... 작업할 브랜치 받아오기
git fetch origin: origin에 없는 remote 브랜치를 가져와야 할 때- Github issue 에서 이슈 생성 (ex. Header 컴포넌트 구현) 후,
- Github projects 에서 칸반보드 관리
- 해당 이슈 작업
npx cz를 통한 commitizen 커밋한 후, 같은 이름의 feat 브랜치에 push- PR 보내고 리뷰 받기 (리뷰어, 링크드 이슈 지정)
- 리뷰 받았으면 앞에 유형 붙이고(feat, fix...) 스쿼시 앤 머지 (ex. feat: 제목 #부여된 번호)
PR 시, eslint 처럼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에서 변경사항이 발생한다면, 슬랙에 그때그때 올리고 각자 로컬에 옮겨서 작업한 후, 해당 변경사항만 따로 커밋하기!
base 브랜치가 develop 인지 잘 확인하기!
기능 체크리스트 작성 (ex. h 태그 지정하여 생성, 예외처리 등 ...)
ex > feat/#2 → origin/feat/#2 로 브랜치 이름과 맞춰서 push 하기
(ex. feat: header 컴포넌트 구현, feat: header 컴포넌트 예외처리 추가, style: ... )
커밋이 길 때는 개행으로 여러줄 커밋하기
처음부터 완벽하게 잡고 갈 수 없으니 해보면서 같이 개선해 나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