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제목은 예시 입니다. 회의록 작성 시 “날짜 ‘회의록’ (회의 내용 요약)” 형식으로 제목을 수정해 주세요:)
[회의 주제]
[To-do]
[세부 내용 메모]
호진-컴퓨터 미술 심리 진단 시스템
- 객관적 판단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의 기준을 만듦
- 객관적 평가 데이터: 색 분포(인간 사고, 행동에 영향), 필압, 선의 특성(벡터계산을 통해 분석), 지우개의 사용빈도(정신적 상태 판단에 중요 정보), 소요 시간, 크기 및 중심
⇒ 수치화된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 제안
- 심리 판단을 위한 컴퓨터 데이터 수집 방법
-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인 정보 추출 방법
- 심리 치료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
태완-Artificial Intelligence Contribution to Art-Therapy using Drawings of the House-Person-Tree Test
- Abstract
- HTP 평가는 대부분 주관적 → AI를 통해 상담자의 주관을 보정하는 것이 목적
- ResNet152 model 이용
- 펜압력, 그림 크기를 중요하게 감지함..
- Intro
- HTP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test
- Related Works
- 어떤식으로 HTP연구가 이루어져 왔었는가
- Design
- Feature를 여러개 넣고 ground truth 만들고 학습
- DataSets
- Quick Draw dataset: 낙서들 여러개를 데이터로 이용 ⇒ 우리가 이런거 활용해도 좋을 듯
- Methodology
- CNN/Transfer learning 통해 이미지 분류
- 필압을 통해 얼마나 실험에 이입했는가(?)
- Experients
- 펜 압력 실험
- 크기 감지 실험
- Conclusion
- 이스탄불 대학과 연구 기록임
⇒ 펜 압력이나 색 조합이나 그림 크기 같은 feature를 기준으로 감정에 다가가는 연구를 해보면 어떨까?!
FER(Facial Emotion Recognition) 연구로도 활용해보면 어떨까
아현
비언어적 행동 같은 걸 해석할 수 있는 ai
지원
HTP같은 걸 분석하는 미술치료와 관련된 모델?!
⇒ 예술치료에 도움이 되는 모델 같은 걸 만드는 방향으로 가도 좋을듯?!
교수님께 여쭤보는 것도 어떨까,,
[다음 회의 주제 및 To-do]
시간표 올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