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제목은 예시 입니다. 회의록 작성 시 “날짜 ‘회의록’ (회의 내용 요약)” 형식으로 제목을 수정해 주세요:)
[회의 주제]
논문 리뷰(권태완, 신아현)
[To-do]
논문 리뷰(권태완, 신아현)
[세부 내용 메모]
- 태완—그림투사검사 관련 논문
Art therapy assessments and rating instruments
그림투사검사 평가
→ DDS(그림 3장으로 색을 섞는 등의 23개의 척도)
→ DAPA(어떤 색을 쓰는지, 어떤 강도, 선, 면적, 감정적 톤 등의 척도)
→ FEATS(PPAT(사과를 줍는 사람) 평가, 색깔 개수, 에너지 정도 등)
Issue
→ 방법론적: 고객 진단을 통일화, 주관적인 이미지 해석
→ 철학 윤리학적: 예술 작품의 독창성이나 의미가 사라질 수 있음..
의문점이 많음에도 앞으로도 사용할 이유
→ 장기적으로 도움
→ 새로운 걸 막을 이유는 없음
- 아현—미술치료 관련 AI agent(ppt)
DeepThInk: Designing and probing human-AI co-creation in digital art therapy
Abstract
→ AI 기술과 미술치료의 접목 : DeepThInk
→ creativity.. 증진 목표
Intro
→ 장점 : 장애인들도 사용 가능
→ 목적 : AI를 통해서 경험 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 과정 : Live Sec, 혼자 + Live Sec
DeepThInk Design
→ step1 : user 요구 수집 (ownership, redraw)
→ step2 : 프로토타이핑 (대충 → 사람 → AI 수정 // 사람, AI 동시) / 스타일링 툴 업그레이드
→ step3 : 평가
- 6개 exercise 수행
- design principle
- 진입장벽 낮추기
- 전체 자동화 금지 : ownership 위해서
- 비선형성 : 답 X
- 온라인
- 시나리오
- 실험
- Live Sec, 혼자 + Live Sec 비교 실험
- 주제를 정해요
- body mind work, ETC(Expressive Therapies), ATR-N 등 모델로 AI를 만들고
- 여러가지 측정방법으로 측정
- PTD를 specific measure로 측정
- AI를 chatGPT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 fine tuning(GPT 같은 언어를 한 분야로 전문가처럼 만드는 것) 쪽으로?!
- art therapy 관련 논문이 부족,, → 만들 수 있을까?
- 어렵다면 사람의 표정인식해 감정인식 같은 therapy에 도움이 되는 걸 해보면 어떨까
- AI art therapy를 위한 여러 요소 중 하나에 집중해서 탐구해보자!
[다음 회의 주제 및 To-do]
논문 리뷰(준수, 지원)
art therapy AI를 만든다면 어떻게 만들지 생각해오기
다음 주 zoom
다다음 주 쉼
다다다음 주(2/21)부터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