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를 계속해서 발전시키고 싶다면One way door vs Two way door취직 준비어디건 시작해서 발전해 나가면 됨새로운 시작 - 처음 90일이 중요새로운 기술의 습득이 아닌 결과를 내는데 초점 맞추기커리어를 더욱 발전시키려면?
커리어를 계속해서 발전시키고 싶다면
- 내가 있는 곳에서 결과를 내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들을 공부하기! 지금 이 자리에서 더 잘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을!
- 요즘 세상의 전문성이란?
- 변화를 두려워 하지 않는 것
- 한방에 끝내려고 하지 않기 : 점진적인 발전 (큰 회사에 한번에 가려고 하는 것)
- 자기 검열하지 않기
- 내가 나를 판단하지 않기(매니저가 볼 때 별로 중요하지 않은 부분들을 열심히 하려고 할 수 있음. 나에 대한 영향력을 많이 주는 사람에게 물어보고 소통하기)
- 많이 물어보기
- 이력서 낼 때도 필요한 skill set보다 내가 적다고 느끼고 자꾸 이력서를 안 내는 것. 이것도 자기 검열이 심한 것임
- 구인 공고를 봤을 때, 내가 여기 적합한지 아닌 지를 판단하기 시작하면 이력서를 내기 힘들어 짐
- Never Stop Learning
- 커뮤니티 러닝
- 잘하는 사람은 주로 미리 나보다 먼저 공부한 것임. 처음부터 나보다 뛰어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 시너지가 보통이 아님
- 같이 공부하고 같이 끌어주는 것이 좋다
-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One way door vs Two way door
- 모든 결정에는 불확실성이 있음
- 그러나 그 불확실성을 조금 덜 불확실하게 만들 수 있고
- 당장에는 One way door로 보이지만, 그게 나한테 도움이 될 수 있음
취직 준비
- 이력서는 제일 첫 장이 중요. skill set! 내가 아는 스킬을 첫 번째 페이지에
- 너무 겸손하지 마라. 한번이라도 써본 건 다 써라
- 자기 검열하지말고. Job Description 보고 나는 부족한 것이 많네 하고 쫄지 말기
- 아직은 아닌 것 같은데 하더라도 시작하기
- 내가 정말로 가고 싶은 회사들에 대해서는 이력서 나중에 내고, 그렇지 않은 회사들에게 이력서 내서 면접 보기
- 매주 5개씩 낸다. 매주 1개 씩 낸다. 처럼
- 99번 실패해도 하나만 잡으면 된다는 패기
- 실패에 상처 받지 않기
- 그냥 공부하게 되면 공부의 방향성이 없어짐. 면접과 공부를 병행하면 실제 회사들에서 사람을 뽑을 때는 이런 걸 하는 구나. 공부와 방향과의 gap을 알 수 있음
- 자신감 넘칠 때 이력서 내는 게 아니라 규칙적으로 이력서 내고 끝나고 나서 복기하고.
어디건 시작해서 발전해 나가면 됨
- 빨리 시작하는 것이 더 중요
- 남들하고 비교하지 않기
- 인생을 길게 보기
- 시작은 미약하나 그 끝은 창대하리라 - 시작하는 곳이 종착역이 아니라는 점 기억하기
- 회사의 이름보다는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더 중요
- 빨리 시작하고 거기서 필요한 것을 배워나가기
공부를 위한 공부뜨는 분야의 공부
- 그리고 회사 취직할 때 질문 많이 하기!!
- 좋은 문화를 가지고 있는 회사라면 당돌한 질문을 하더라도 잘 답변해줌
- 그렇지 않더라면 뭐 그런 것을 물어보냐 하고 대답 안해주고.
새로운 시작 - 처음 90일이 중요
- 자기 검열하지 말고 매니저의 스타일 파악하고 피드백 요청 (방향성을 맞추는 것!!)
- 과거의 상처를 가지고 시작하지 않기
- 전 회사에서 힘들었던 것 오자마자 공격적으로 물어보고. 그런 것들
- 남(잘 나가는 주변 지인들)과 비교하지 않기
- 열심히 일하되 너무 서두르지 않기
- 주어진 일을 잘 완수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함
새로운 기술의 습득이 아닌 결과를 내는데 초점 맞추기
- 자신이 맡은 일을 잘 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 습득
- 예를 들면 자동화하기 혹은 실행 시간 단축하기
- 자신이 맡은 일의 성공/실패를 어떻게 결정하는 지 생각
- 매니저와의 소통이 중요
- 성공/실패 지표에 대해서 생각하고 질문 많이 하기
- 일을 그냥 하지 말고 항상 “왜” 이 일이 필요하고 큰 그림을 생각하기
- 질문하기
커리어를 더욱 발전시키려면?
- 기술적인 발전보다는 행동 양식의 변화가 필요함
- Comfort zone에서 나와야 함(나만의 행동양식. 나의 습관들)
- 예) 완벽 주의자 팀원 이야기 → 무슨 일을 시키건 다 완벽하게 하며 자신이 만족
- What got you here won’t get you there
- Peter’s principle : 무능해 질 때까지 승진한다.
- Self-reflection이 필요하며 주변의 선의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이 필요
- 멘토 찾기
-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 후회를 최소화 하는 것
- 나의 길을 찾기 (남과 비교하지 않기)
- 회사가 나의 기술 스택과 안맞지만, 사람들이 좋을 때?? 조인해야 하냐. ⇒ 성장할 회사라면 !!
- 반대로 기술 스택이 맞지만 사람들이 좋지 않으면 ? 조인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