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I를 이용하지 않고
세미콜론을 필수적으로 써준다. (prettier)
- 함수는 화살표 함수로 작성한다.
- var를 쓰지 않고, const와 let을 사용한다.
- assets 파일 이름은 kebab-case를 사용한다.
erase-check.svg
- 변수명은 camelCase로 작성한다.
issueLabel
- .jsx 파일의 파일(폴더)명은 PascalCase를 사용한다.
LoginPage.jsx
- What에 대한 주석은 작성하지 않고 Why에 대한 주석을 작성한다.
- css는 인라인 스타일을 사용하지 않고 styled-component를 사용한다.
- 명령형 로직은 함수로 추상화하여 선언적으로 사용한다.
- 변수명은 길어도 좋으니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명시적인 변수명을 사용한다.
- 이벤트 핸들러는
handle + *****로 명명한다.
- 스타일을 위한 div는
***** + Wrapper로 명명한다.
컴포넌트 구성 순서
importarrow functionstyled componentspropTypes- 사용할 때마다 값을 지정해야 하는 prop은
isRequired를 추가한다.
export defaulthelper functions- 해당 컴포넌트에서만 사용될 때 위치시킨다.
- 다른 컴포넌트에서도 사용된다면
helpers.js로 이동한다.
![[팀3] 아이육](https://www.notion.so/image/https%3A%2F%2Fs3-us-west-2.amazonaws.com%2Fsecure.notion-static.com%2F42f3f288-cddc-4aa9-9c8c-5fda2385816c%2F%E1%84%8B%E1%85%A1%E1%84%8B%E1%85%B5%E1%84%8B%E1%85%B2.jpeg?table=block&id=28f236d1-2c78-43ef-b1a5-662df6e93477&cache=v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