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장지원 페이지/
🗑️
Trash
/
장지원, JANG JIWON
장지원, JANG JIWON
/HCI lab/시각 장애인을 위한 그래프/
#06. 기존 장갑 디자인 (10.06)

#06. 기존 장갑 디자인 (10.06)

 

To do

 
시각장애인이 어떻게 점자를 인식하는지 : 예를 들어서 점을 각각 따로따로 인식하는지 아니면 하나의 선으로써 인식하는지 → 시각 장애인 인터뷰 해보기
장갑 디자인 : block 하지 않는 디자인, 너무 block 되어 있으면 감각이 제한되어서 감각을 못 느낄 수도 있다. so 차단하지 않고 자극 잘 전달 할 방법이 필요함
정밀한 진동 : 진동기 어떤 것을 사용할지 ex. 애플 햅틱 : 솔레노이드 (탁 튀어오르는 느낌 잘 표현함), LRA (조사해보기)
디자인
 
손바닥 + 반지형 디자인 → 스케치 / 점토 (네일 아트 가짜 손톱)
 

선행 연구 : 기존 장갑 디자인

 
손가락 점자 활용한 연구
: 진동 횟수?
EnPower: Haptic Interfaces for Deafblind Individuals to Interact, Comm
For deafblind individuals, the absence of visual and auditory communication channels prevents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the people and world around them, leading many to suffer from both mental and social issues. Among the remaining sensory channels (e.g., taste,...
EnPower: Haptic Interfaces for Deafblind Individuals to Interact, Comm
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030-63089-8_49
EnPower: Haptic Interfaces for Deafblind Individuals to Interact, Comm
 
가상 현실 촉각 연구
Bringing Touch to Virtual Reality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wearable that can emulate the sense of touch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and a rapid response rate.
Bringing Touch to Virtual Reality
https://www.techbriefs.com/component/content/article/tb/stories/blog/46980
Bringing Touch to Virtual Reality
 
손 패드를 가리지 않는 피드백 디자인 →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선행 연구 : 손의 촉각 능력

 

1.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DBpia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1800131&googleIPSandBox=false&mark=0&ipRange=false&b2cLoginYN=false&accessgl=Y&language=ko_KR&hasTopBanner=true
DBpia
:
2점 식별 감각
서로 다른 두 자극 점을 느끼기 위한 최소 거리
two-point discrimination threshold
 
공간 감각
  1. 감각 협응 능력 : 외부로 부터 자극된 힘이 손바닥에서 형태와 움직임을 느끼는 촉각능력
  1. 자극-반응 지각 능력 : 표피에 외적 힘이 자극되어 직관적 기호로 해석되는 능력
  1. 지각적 향상성 : 다양한 피부 표면 일지라도 촉각 점과 같은 불변인의 속성으로 지각할 수 있는 항상성
  1. 공간 내의 위치 자각 : 공간상,중심점에서 방향점 또는 시작점에서 중심점, 그리고 전후좌우 방향 점에 대한 지각
  1. 거리 측정 능력 : 대상들사이에 유사점의 위치와 방향을 판별하는 능력
  1. 기억 능력 : 촉각 방향정보를 심상이미지로기억되는 능력
 
1: 2점 식별 인지 과정에서는 촉각 점의 자극 강도와 손바닥 부위에 따른 촉 지각 간격에서 차이가 있다. 격자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촉각 점을 찍었을 때 피 실험자가 손바닥 부위의 민감도에 따라 방향을 다르게 인지했다.
2: 두 개의 촉각 점을 이용한 촉 지각의 적정 간격은 12㎜이다.
3: 손바닥의 촉 지각 2점 식별 감각에서 두 집단은 뚜렷한 차이가 없다. 2점 간격이 8㎜,10㎜인 타공 마스크에서는 두 집단의 인지율 차이가 있었으나,12㎜에서는 허용 오차 범위로서 유의성이 없음으로 두 집단 사이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2.

Palm-Placed Navigators
munivo guide for the blind - I can only imagine the frustrations of limited traveling independence, but it's inventions like the Munivo Guide for the Blind that can attempt to ...
Palm-Placed Navigators
https://www.trendhunter.com/trends/munivo-guide-for-the-blind
Palm-Placed Navigators
:
손가락을 가리지 않는 햅틱 디자인
 

3.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DBpia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0259241&googleIPSandBox=false&mark=0&ipRange=false&b2cLoginYN=false&accessgl=Y&language=ko_KR&hasTopBanner=true
DBpia
: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주파수는 240hz
손바닥 그림을 보면 손바닥 쪽은 손가락 끝 부분 쪽보다 평균 반응 역치(threshold) 가 높은 걸 확인할 수 있다.
손의 부위와 상관없이 240Hz의 주파수에서는 역치가 낮았다. 단 검지는 모든 주파수에 대하여 역치가 완만했지만 다른 부위는 주파수가 달라짐에 따라 역치가 급하게 변했다.
contactor 수에 따른 (면적 변화)에 다른 역치도 유의미했다. 면적이 넓어질수록 역치가 낮아졌다. 그러나 240Hz 주파수 내에서는 면적의 따른 역치도 유의미하게 달라지지 않는다.
 

4.

Video preview
(50초부터 보기)
 

5.

www.jstage.jst.go.jp
https://www.jstage.jst.go.jp/article/jpts/27/6/27_jpts-2015-093/_pdf/-char/ja
TPD 측정 (Two-point discrimination, 2점 식별 감각)
점자 사용이 촉각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1. 두 손가락에만 장갑 끼우기 → 어느 손가락에 끼울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1. 손바닥에만 장갑 끼우기
  1. plam Sensitivity bl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