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금픽 발표!
- 빵빵이와 친구들
- idea: 빵 친구 찾기!
- 배울 점: scroll 디자인, fast scroll(?), time stamp
- Spoon
- idea: 맛집 소개 하기!
- 배울 점: 지도 보기, 네이버 API, 카카오 API
- 니빵내빵
- idea: 빵 집 소개
- 배울 점: RoomDB
- UNIV
- idea: 대학 생활 도우미
- 배울 점: Card 슬라이더?, Google vision API, gpt API
- 스크럼블
- idea: 스크럼 도우미
- 배울 점: Text analysis, markdown 지원!?
- 카스타드
- idea: 비즈니스 명함 관리 어플
- 배울 점: 데이터베이스
인프랩 CTO 강의 (이동진)
- 코드리뷰 (내 코드를 다른 사람이 리뷰, 다른 사람 코드를 내가 리뷰)
- 내가 원하는 개발 환경
배달의 민족 이직!
- 개발 블로그?, senior 개발자 follow?
- 견고한 소프트웨어?
- 배달의민족 시리즈 라운드
인프랩 이직!
- 서생의 문제 의식 + 상인의 현실 감각
- 투자금 없이 성장할 수 있는 구조?
- 유니콘/낙타 스타트업?
- 신입 → 적응 기간을 줄여보자!
- AI를 통한 빠른 피드백 환경? → AI를 통한 코드 리뷰(coderabbitai) → github project가 public(open source)라면 무료임!
- 제어할 수 있는 것에 집중 → ex API오류에 불평하지 말고, 이걸 해결할 방법을 찾아보자.
- 불평 불만 하지 말고, 이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것에 집중하자.
“ 본인의 삶이 소설에서 보는 영웅의 여정과 유사하다고 느낄수록 삶의 의미가 높다. “
유튜브 구독해보기!
기억보단 기록을
좋은 애플리케이션 구현 & 설계 / 데이터베이스 / 클라우드 / 스타트업 이야기 등을 이야기합니다.
경쟁력 있는 신입 포트폴리오
팀원들의 이력서를 글 하단에 첨부해두었다. 이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한 멤버들에게 관심이 생긴다면 한번 커피챗을 요청해보자. 올해 대학생분들을 멘토링을 종종 했다. 자주 받던 고민이 "어떻게 해야 취업 경쟁력이 생기느냐" 인데, 나는 그럴때마다 아래와 같이 조언을 드렸다. "뭐든 괜찮으니 본인에게 필요한 것을 하나 만들고 실제 출시까지 해보라. CLI, 패키지, 웹, 앱 상관없이 출시를 하고, 100, 1000명의 고객을 만들고, 365/24시간 운영해보면 로그 메세지는 어떻게 남겨야하고, 에러 핸들링은 어떻게 해야하고, 쿼리는 어떻게 작성해야하고, SQL 인잭션, XSS 공격 등을 왜 막아야하고, 한정된 서버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등등을 배우게 된다. 운영하면서 배운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하면 ..
신입 개발자의 경력은 어디서 얻을 수 있는 가?
- 요즘은 인턴을 많이 함 (미리 그 사람을 평가해 보기 위해서) → 정규직 자주 안뽑는다!? + 구조조정
- 이력서 보다 (눈에 보이는 스펙) → 진짜 능력이 중요한 시점이다.
- 문제 해결 능력도 중요하다.
- 서비스 운영 & lunching 해보는 것도 괜찮을 듯
방식?
- 만드는 것이 중요한가? vs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가?
- researcher 입장에서는 후자, engineer 입장에서는 전자
질문
- 어떤 장점을 가진 사람이 연구자가 되고, 어떤 장점을 가진 사람이 엔지니어가 되는 게 좋을까?
- 엔지니어 입장에서 연구자와의 가장 큰 차이점?
좋은 개발자?: 버티는 능력!?
좋은 회사?: 그건 모름,, 떠나야 되는 시기? → 자리를 잡았을 때 → 자리를 잡지 않고 떠나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자리를 잡았다는 건 여차하면 그 회사를 다닐 수 있다는 의미!!
배움과 일의 밸런스
- 알아서 조정하자 ㅎ
AI의 대체 가능성
- CO → 대체자가 아니라 협력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