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RD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들을 수 있다.
K-클럽 항목 들어가며 자유로이 개인 멘토링을 할 수 있다.
전문가가 되는 법
학사 → 석사 → 박사 → 포스트 닥터
포스트 닥터 : 박사 후 연구원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계약을 하고 연구를 한다)
- 대학원 선택하는 법
좋은 지도 교수님 : 연구 방향 / 분야가 맞는가?
인터십이나 면담을 통해 미리 만나보도록 하자.
연구 방향 : 이론적 연구를 좋아하시는가?, 실용적 연구를 좋아하는가?
연구 실적 : 3-5년 내의 연구 실적을 ‘교신 저자’ 기준으로 확인하기
지도 스타일 (마이크로 매니징, 방임)
대학원에서 우리가 해야할 것 : 주체가 되는 법을 배우기 위해서
- 포스트 닥터 되는 법
희망하는 PI (지도 교수 말하는 듯) 지원 / 해외 학회가서 스스로를 홍보하기
본인의 funding 마련하기
- 교수 되는 법
논문 / 인용 횟수 / 발표 자료 (이런 걸 CV라고 하나 봄,,) 등 관리하기
스스로 가고 싶은 학교/기관에 세미나 등의 형태로 가서 나를 알리기
검토 목록
학교에 있는 분야인가 (은퇴 교수, 학과 내에 없는 분야 있는지 보기)
실적이 충분한가
간판 보다는 좋은 연구실!
포닥은 해외 경험 해보는 것도 좋아!
한 가지 연구 분야 (연구실n년,,,) 안 힘든가;; → 계속 새로워,, 지루해도 하나만 하는게 나중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