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 발표
- 서비스에서 가장 매력적인 한 부분을 먼저 소개.
- 당연한 것보다는 공감될 만한 것.
- 임팩트와 강약조절이 핵심.
- 팀 협업에서 했었던 일. (Liveshare)
회고 관련 피드백
지난 기수일 때 회고 관련해서 제 생각을 적었던 적이 있어 가져와 봤어요! (사실 티타임 때 말씀 드린 내용과 비슷해요!)회고에 대한 제 생각이에요!저는 개인적으로 회고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요.스스로 메타 인지를 하기에도, 팀 내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을 가지기에도 좋은 팀웍을 가지기에도 매우 좋은 도구라고 생각하고 있어요.회고 방법이 무수히 많기 때문에 짧은 글로 여러분들에게 말씀 드리긴 힘들 것 같고.회고에서 여러분들이 꼭 하셔야 할 것, 하지 말아야 할 것 들을 말씀 드릴려 해요.
(많은 회고법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쉽게 해볼 수 있는 KPT 회고를 추천드려요!)
해야할 것
- 회고를 왜 하는지?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해요. 목적 없이 회고를 하면 회고 주제가 샐 수도 있고, 본질을 놓칠 수도 있어요.그래서 회고를 하기 전에 우리는 어떤 목적으로 회고를 하는지? 어떤 부분을 회고할 지? 미리 팀과 정해두고 시작하면 좋아요.
- 프로젝트 관련 (프로젝트는 잘 진행되었는지? 힘든거나 어려움은 없었는지?)
- 팀 관련 (팀 끼리 프로젝트 하면서 좋았던 점은 없는지? 비효율이나 아쉬운 건 없는지?)
- 개인 역량 & 성장 관련 (내 스스로 잘했다고 생각한 포인트는 없는지? 아쉬움은 없는지?)
과 같이 목적을 나누어 회고 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 모두가 골고루 이야기를 하고, 들어요.
같이 회고를 하는 이유는 “나는 잘했다고 생각”했지만 동료는 힘들어 했을 수도 있어요. 반대 케이스가 있을 수 있구요. 아니면 정말 모두가 만족했던 부분이 있을 수 있죠.잘한건 계속 더 잘하기 위해, 아쉽거나 비효율적인 것은 앞으로 개선하기 위해 하는 것이에요. 또한 내가 잘하는 것, 못하는 것을 잘 알고 활용하기 위함도 있구요.그렇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하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같이 이야기를 할 수 있게 사회자가 있다면 돌아가며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만들어 줘야 해요.
- 근본적인 사유를 찾아내려 노력해요.
추상적인 또는 표면적인 회고를 하게 되면 정확히 내가 뭘 잘했는지 못했는지 알 수 없어요. 특정 사건 or 상황에 힘들었으면 그게 왜 힘들었는지? 꼬리물기 식으로 파봐야 해요.좋았던 경험은 왜 좋았는지? 아쉽거나 힘들었던 것은 왜 아쉬웠는지 서로 물어보면서 진짜 원인(or Why)를 찾아내요.
- 안좋은 예)
- 🐥: 개발 일정을 너무 타이트하게 잡았어요..ㅎ
- 💀: 앗 그렇군요. 다음부턴 우리 널널하게 잡아봐요~.
- 🐥: 그렇네요 ㅎㅎ 담엔 널널하게 잡아볼게요~
- 좋은 예)
- 🐥: 개발 일정을 너무 타이트하게 잡았어요. 그 때 저 혼자서만 대응하면 될 것이라 생각했는데, OO팀의 도움이 필요했어요.
- 💀: 왜 우리는 OO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놓쳤을까요? OO팀이 도움이 필요한 것을 우리가 일찍 발견할 수는 없었을까요?
- 🐥: 제가 아직 개발할 때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 잘 몰랐었어요. 미리 내가 무엇을 할 지, 무슨 고민을 하고 있었는지 미리 공유했으면 어땠을까 싶어요~
하지 말아야 할 것
- 본인에게 솔직해야해요. 그리고 타인에게도 솔직하게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해요.
보여주기 식의 회고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어요. 회고를 통해 위로를 받을 수도 있겠지만 위로가 목적이 되면 안돼요.그리고 동료에게도 솔직한 이야기를 할 수 있어야해요.비난과 피드백은 완전 달라요. 비난은 상대방을 깎아 내리는 것이고, 피드백은 더 나음을 찾아가는 과정이에요.
기타
- 실시간 채팅은 ‘웹소켓’ 사용
- 좋아요 기능 (낙관적 업데이트)
- 회고를 통한 폭발적인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