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 구현과정 및 코드
개인 토글 영역에 구현 과정과 코드를 자유롭게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사용할 데이터 구조와 풀이 방향성
적용할 알고리즘 혹은 메서드
종혁
재웅
✏️ 후기
문제를 풀고 느낀 점, 막혔던 부분 혹은 개선 사항 등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수영
- 정렬의 중요성..
- array.sort()는 사전식을 따른다! ["1", "2", "3", "100"] → array.sort() → ["1", "100", "2", "3"]
정은
- (다른 풀이) zip, startswith 같이 파이썬 문법을 사용하면 더 간결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다시 풀어보기
- 생각해보니 이 문제는 한번이라도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제라 앞, 뒤만 비교해도 됐었는데,
만약 매칭되는 전체 개수를 구하는 문제라면 이 방법은 맞지 않다.
- 취지에 맞게 해쉬를 사용하지는 않았다,,ㅎ
- 소요시간 : 5분
종혁
- 원소가 중복해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길이가 같은 원소들은 절대 서로의 접두사가 될 수 없음
- 길이가 짧은 원소가 → 길이가 긴 원소의 접두사가 됨
재웅
- 탐색에는 해시가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