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제목은 예시 입니다. 회의록 작성 시 “날짜 ‘회의록’ (회의 내용 요약)” 형식으로 제목을 수정해 주세요:)
[회의 주제]
주제에 대한 자문 구하기
[To-do]
- 현재 진행 상황 보고
- 현재 방향을 잡는데 참고한 Ref
-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자문
[세부 내용 메모]
현재 진행 상황
매주 두 명 로테이션으로 논문 리뷰
현재는 주제 잡는 중
현재 회의 내용 변화… (주제 구체화…): 예술치료 & 컴퓨터(AI) ⇒ 예술치료 전반적인 모델 ⇒ 예술치료를 분석하기 위해 도움이(객과적인 지표를 제공해주는) 되는 툴 제작
주제
예술치료에 도움을 주는 요소들을 분석해주는 툴을 만들자.
ex. 필압, 컬러, 크기 등을 측정해주는 도구
⇒ 감정 분석에 도움이 되는 Feature들을 분석해주는 도구들을 만들어보자.
Point
⇒ 이런 Feature들을 어떻게 추출할지
⇒ 데이터(Feature)를 바탕으로 어떻게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할지
++
그럼 Feature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필압, 컬러, 비언어적 행동 등,,
Ref
- 호진-컴퓨터 미술 심리 진단 시스템
- 태완-Artificial Intelligence Contribution to Art-Therapy using Drawings of the House-Person-Tree Test
교수님 말씀
Feature - 감정 연관성
ex. 크기, 컬러 → 통계를 보여줄 수 있는 (dataset)
필압은 데이터가 적어서,,,, 너무 러프,,,,
그림을 직접 줬을 때 → 말로써 설명 전달 (daraset도 많음) → 정보 데이터가 많지 않을 것이다 (1000개 이상…). → 타 논문을 바탕으로 라벨링 짝짓기(Indicator 찾아서 붙이기) → 감정 라벨링 어떻게 할지가 가장 큰 문제
⇒ 이걸로 객관적 정보 전달
⇒ 전 논문보다 규모가 큰 분석이 가능할 듯 ⇒ ETC 수준 분석에 대해서 다시 연구해보기
- 데이터 셋이 적다면
augmentation(데이터 변형),
치료사분들에게 라벨링을 부탁드리고,
[다음 회의 주제 및 To-do]
++ 미팅 시간
0)
Emothaw: A novel ~~
Kaggle 처럼 emotion score 풀어보자. 라는 방법도 괜찮을 듯
⇒ 있는 데이터셋으로 해보자.
1)
ex. 이모셋(Emoset)을 이용해서 뭘 할 수 있을지 —> 역으로 물어보는 방법: 이 데이터를 가지고 널 도울 수 있을까? 이걸 갖고 미술 치료를 할 수 있을까?
2)
사진 분석 → 스케치에 대한 감정 분석은 어떻게 해? ⇒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 ⇒사진→ 스케치로
사진을 스케치로 분석해보자.
⇒ 그림 그려봐 시키면서 라벨링하고, 전이 학습 시켜보기
0)과 2)를 합쳐서 전이학습 해보자.
Sketch Emotion data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