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 주제 : 예외처리
- 강희정 : 자바 예외 종류, 어떻게 사용하나?
- java 예외의 분류
- error
- checked exception
- unchecked exception
- 예외 처리 방법
- try-catch
- throws
- throw
- 김은서 : custom exception
- 필요 배경
- 사용 이점
- 이름으로도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 상세한 예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예외에 대한 응집도가 향상된다.
- 예외 발생 후처리가 용이하다.
- 예외 생성 비용을 절감한다.
- stack trace 란?
- fillInStackTrace method
- Caching an exception
- 이상민 : 예외처리 best practice : 뭘, 왜, 어떻게 던지고 잡아야할까?
- Throwable을 잡지 마라
- 사용자 입력을 최대한 빨리 검증하라
- 예외로 흐름제어하지 마라
- 하나의 예외는 하나의 로그에 작성하라
- 예외를 감싸서 던져라
- 절대 finally 블록에서 예외를 던지지 마라
- 예외 로그를 남기고 던지지 마라
- 빨리 던지고 늦게 잡아라
- 김다희 : 전역 exception!, record 자료형에서 bean validation 처리
- 스프링 예외 처리 방식
- 전역 처리 장점
- 전역 처리 단점
- 전역 처리가 꼭 좋을까?
블로그 링크 ✍
질문 🙌
- 특정 핸들러 지정 방식이 있을까요? → 해결 완료(?)
다음 주제 : 트랜잭션
jpa 랑 같이 활용하기
고립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