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를 예쁘게, 보기 좋게 꾸며주는 CSS를 적용하는 방법은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외부 CSS 파일 로드하기
HTML안에 CSS 작성하기
인라인 스타일
CSS 파일 안에 CSS 포함하기
에릭 마이어의 reset CSS https://meyerweb.com/eric/tools/css/reset/
Normalize.css https://necolas.github.io/normalize.css/
각 브라우저들에 자체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기본 스타일(여백 등)을 초기화 시켜서 원하는 디자인을 적용하기 쉽게 만들어 줍니다. 위의 두가지 방법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며, 프로젝트에 맞게 직접 만들어 쓰기도 합니다.
▲ body의 background-color를 red로 설정
▲ header에 포함되어 있는 a의 display를 inline-block으로 설정
아래의 내용 외에도 많은 선택자들이 있지만, 공부를 처음 시작할 떄 우선 알면 좋은 것들 위주로 추려보았습니다.
*
: 문서 내의 모든 엘리먼트를 선택.
body
,header
,h1
,section
등 해당 이름을 가진 html 엘리먼트를 선택.
#foo
id 선택자 :<div id="foo">
의 형태로, id는 중복이 불가능한 유일한 값.
.foo
class 선택자 :<div class="foo">
의 형태로, 중복이 가능. class로 자주 쓰는 스타일을 정의해두고 재사용.
input[type="text"]
: input 엘리먼트 중 type 속성의 값이 text인 엘리먼트를 선택.
.foo > p
: class="foo"인 엘리먼트의 직계 자식 엘리먼트 중 p를 선택. 문서 내의 모든 엘리먼트를 선택..foo > p 설명 예시 code
.foot:first-child/.foo:last-child/.foo-nth-child(n) 설명 예시 code
.foo:first-child : class="foo"인 엘리먼트 중 첫번째 자식인 엘리먼트를 선택
.foo:last-child : class="foo"인 엘리먼트 중 마지막 자식인 엘리먼트를 선택
.foo:nth-child(n) class="foo"인 엘리먼트 중 n번째 자식인 엘리먼트를 선택

box-sizing: content-box (기본값)
width: 300px; height: 200px; padding: 20px; border: 5px; soild black; margin: 15px;

box-sizing: border-box (border까지 width에 포함)
width: 300px; height: 200px; padding: 20px; border: 5px; soild black; margin: 15px;
CSS에 대해 좀 더 상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역시 무료책이며, 중급자로 도약하기 위한 상새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리디북스에 무료책으로도 공개가 되어있지만, 아래 Notion Page에서 보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