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장지원 페이지/
🗑️
Trash
/
장지원, JANG JIWON
장지원, JANG JIWON
/학술 글쓰기/
Lec9

Lec9

 
 

<감상과 비평>

 

01 감상 비평의 개념

 
감상이란 : 어떤 대상의 ‘형식’과 ‘내용’을 즐기면서 그 대상이 지닌 가치를 지각하는 행위
 
비평이란 : 감상보다 고양된 행위? 글쓰기?
  1. 어떤 대상이나 현상에 관하여 옳고 그름이나 아름답고 추함을 분석하여 그 가치를 밝히고 평가하는 일
  1.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 사건, 텍스트의 의미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는 행위
 
비평에 대한 오해
  • 비평은 대상에 대한 단점, 결점, 오류 등을 짚어내는 비판의 행위가 아님
  • 의미에 대한 해석과 그 가치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깊이 보고, 읽고, 듣고, 느끼는 행위가 수반되어야 함
 

02 감상 비평의 방법

 
몰입의 방법
  1. 따라가기 : 작품에서 벌어지는 사건의 과정을 따라가며 그 과정 전체의 완성과 결과를 예측 기대하고 받아들이는 것 (ex. 추리물 등..)
  1. 이입하기 : 대상 작품, 그 안의 인물들, 혹은 작품의 창작자와 경계를 허물고 상상력을 발휘해 정서적으로 결합되는 상태
 
인상을 정리하기
  • 인상 : 대상 작품을 읽거나 보는 도중, 순간적이고 직관적으로 갖게 되는 느낌과 생각
  • 왜 이 부분이 유독 기억 속에 남아 있게 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비평의 출발점
 
창작자의 의도와 주제의식 생각하기
  • 창작 의도를 짐작해 보는 것
  • 이를 위해서는 창작자의 작품 세계 전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ex. 잘못된 거울
 
사회,문화적인 맥락 재구성하기
  • 상상력을 통해 창작자의 상황 속으로 들어갈 때 그가 살았던 시공간의 역사적인 상황이나 현실, 삶의 조건 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ex. 게르니카
 
기법 분석하기
  • 어떤 작품이 우리에게 주는 재미, 감동, 지적 쾌락이 작품의 어떤 특징적인 구조, 장치, 내용 등에서 비롯되는지 발견하고 이해하는 일
 
가치와 메세지에 대한 판단과 평가
 
 
⇒ 같은 영화를 보고, 같은 분석을 하더라도 각기 다른 분석을 내릴 수도 있다
 

03 비평 에세이의 기본적인 요소

 
비평 에세이는 감상문이 아님
  • 작품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감상, 분석, 해석, 평가 등의 내용을 담은 에세이를 말한다
  • 객관적인 분석을 담고 있는 동시에 글쓴이의 시각에서 해석한 대상에 대한 의미와 평가가 담겨 있어야 함
 
책 199-201p
세 번째 문단부터 본격적인 분석 : 글을 형태를 보여줌 → 읽기 쉬워, 짧아
과학사적 의미
당시의 컨텍스트 → 문화 맥락
 
다크나이트
‘자유’
상표의 부재, 돈을 거부하는 인물
  • 주제를 동시에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를 이끌어내고 있다
  • 어떤 요소 장면 설정에 주목하는가
  • 해석해 내는 의미는 뭘까
  • 개성이 잘 드러나는가
  • 유기적으로 연결이 되는가
 
우리의 이익과 동시에 유전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