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지션 별 진행 현황
🤩 중간 회고록
초이
잘한 점
- 그동안 데브코스에서 배운 지식을 사용하되, 기존 강사님이 알려주신 코드들을 최대한 배제하여 사용했음. 나만의 코드를 찾아서 진행한 느낌
- 스크럼 마스터를 진행하면서 전체적인 스프린트 기간을 이후 이슈 리팩토링 등을 위해 좁게 가져간 게 완성까지 한 단계 앞으로 둠
- 전반적으로 라이브러리 사용을 최소화하고 직접 구현을 목적으로 해 직접 원리를 파악할 수 있었음.
- ISSUE/PR 관리 법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문서화했고 전체적인 프로젝트 파악을 하기 좋았음.
- OAuth 2.0에 대해서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소셜 로그인 구현 완료
- React의 전체적인 State 흐름 방식을 이해하고, Hook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진행 했던 프로젝트
- Storybook CI/CD를 통해 디자인 시스템 쉽게 확인하도록 세팅.
- Mobile View 세팅 등 전반적으로 디자인 시스템 구성함


아쉬운 점
- 기간이 너무 짧아서 컴포넌트화가 아쉬움. 그리고 고려해야 할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확장성이 부족해서 아쉬웠음.
- 기획 단계에서 시간을 너무 많이 보냈던 점. 와프보다는 요구사항 설계를 탄탄하게 했으면 어땠을까? 싶었음.
- Jest 등 프론트엔드 테스트 라이브러리를 못 사용해본 점이 아쉽다.
앞으로 개선 할 점
- 짧은 프로젝트가 아니라 길게 진행한다는 프로젝트로써 진행해야 함을 명심하고 데브코스가 종료되어도 리팩토링을 무조건 하려고 한다.
팀원들에게 바라는 점
- 다들 너무 잘해주셔서 고맙고 프로젝트 마무리 후에도 리팩토링 꼭 해봐요~
빙글
잘한 점
시작할 때는 맡은부분을 전부 구현할 수 있을지 조금 막막한 느낌이 커서 걱정했는데, 생각보다는 무난하게 진행중인 것 같아서 좋았다.
제일 걱정하고있던 페이지가 예상보다 빨리 구현되었다. 오..
git 충돌을 내지 않아서 다행이었다. git 이 무섭지 않을지도?
강의를 들으며 공부하다보니 구현하는 능력에서 부족함을 느꼈는데 확실히 이렇게 실제 프로젝트를 통한 공부를 하면서 가장 빨리 늘고, 양질의 공부가 되는 것 같다.
아쉬운 점
아직 많이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 서버와 연동하지 않은 상태의 도메인/페이지 를 구성하는데도 어떻게 구현은 했지만 시간이 오래걸리고 검색도 많이 필요한 상황임을 느끼는 중
CORS 이슈 등 처음 들어보는 이슈들에 대해 팀원분들이 해결하려고 논의를 하는데 이해하지 못해서 듣고만 있었다.. (구글링으로 공부했음..)
강의를 듣고 개인 프로젝트 / 프론트 구성 프로젝트 에서는 경험해보지 못했던 많은 문제들을 처음 겪는중이라 더 어려웠던 것 같다.
앞으로 개선 할 점
다른 팀원이 사용하는 컴포넌트를 짤 때, 여러 확장성을 고려해서 짜야할 필요성을 느꼈다.
내가 짠 컴포넌트에 대한 사용법을 충분히 공유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작동은 되지만 콘솔에 뜨는 에러를 해결하고 PR을 올리자. (자꾸 깜빡함)
팀원들에게 바라는 점
다들 건강하세요~ 잠은 살아서 자자 😴
훈
잘한 점
- 프로젝트에서 나에게 주어진 역할에 책임감을 가지고 임했다.
- 나의 코드 리뷰로 최대한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나의 생각을 잘 전달하려고 노력하며 코드 리뷰에 임했다.
- 기능에서 최대한 꼼꼼하게 사용자의 경험들을 생각해내려고 노력하였다.
- 문서화를 최대한 꼼꼼히 정리하였고 모든 대화의 주제가 가치있는 이슈라고 생각하며 협업에 임했다.
아쉬운 점
- 프로젝트 기간이 너무 짧다고 느껴졌다.
- 아쉬우면서 좋은 점도 존재한다고 느낀다.
- 제한적인 기간내에 나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극한의 실력 증가가 이루어지는 것 같다.
- 디테일한 과정의 협업을 진행하다가 결국 시간의 한계에 봉착하여 우리가 설계한 꼼꼼한 협업 과정의 효율성을 최대로 이끌어내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 결국 결과물은 나와야하니까
앞으로 개선 할 점
- 좀 더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쉬운 문서는 어떤 것 일까? 라는 생각을 가지며 문서화 작업을 진행하려고 노력해야겠다.
- 급하게 개발을 진행하는 속에서도 다시금 팀원들에게 영향이 가는 코드인지 더더욱 꼼꼼히 생각하며 코드를 작성해야겠다.
팀원들에게 바라는 점
- 바라는 점 보다는 팀원 한 명, 한 명이 모두가 다같이 열심히 하는 과정 속에서 좋은 팀원들과 함께 성장한다 라고 느꼈고, 이러한 팀원들과 함께하게 되어 너무나 감사합니다.
- 현재 우리가 느꼈던 이슈들은 모두가 이해가 가능한 이슈라고 생각하며 힘든 상황 속에서도 서로 존중하는 지금의 자세가 끝까지 유지되면 좋겠습니다.
구피
잘한 점
- 공통된 코드를 구현하면서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메인 단위로 나눔

- 공통적으로 쓰이는 ResponseEntity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도록 구현

아쉬운 점
- 스프린트 단위가 계속 밀림
- 공통 코드를 구현하면서 많은 시간을 소비
- OAuth를 개발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
- Testcode의 미비
- 프로덕트 코드를 구현하느라 Test에 대해서 미흡함
- GitHub 협업에 대한 어려움
- 팀원들에게 도움을 받으며 진행함
- 팀원들의 개발시간을 뺏음..ㅜㅡㅜㅜ
앞으로 개선 할 점
- Testcode 구현에 집중
- 도메인 단위의 TEST를 짜면서 최소한의 근거를 만들어가야함
- 코드 리펙토링 진행
- 중복된 코드를 어노테이션으로 빼면서 리펙토링 진행
- 코드가 자동화되도록 수정
- OOP스럽게 리펙토링
팀원들에게 바라는 점
- 스프린트 단위가 많이 밀린 것 같습니다!
- 남은 기간동안 최선을 다해 진행해요!!
- 우린 할 수 있다!!!
- 보여지는 것에 집중도 좋지만, 코드의 퀄리티에도 집중하기!!
- 리펙토링은 꾸준하게!
주디
잘한 점
-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새로운 시도들을 많이 했는데 기존에 경험해 보지 않았던 것을 경험하면서 많이 배울 수 있어 좋았던 것 같다.
- 깃모지 사용! 새로 도입해보는 것인데 확실히 글보다 명확하게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 깃허브 협업 규칙도 초반에 잘 정의해놔서 비교적 충돌 상황이나 깃허브 때문에 문제 되는 상황들은 적은 것 같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 코드리뷰 열심히 하는 중인데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그 대신 많이 배워갈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
아쉬운 점
- 개발 속도가 너무 느리다. 데브코스 기간 동안에 개인적으로 바빠서 공부에 소홀히 했던 것이 여기서 드러나는 기분. 하나를 구현하더라도 찾아보고 공부하면서 하다보니까 속도가 너무 느려졌는데 그래도 이제 조금 감을 잡은 것 같아서 이제부터라도 속도를 내보려고 한다.
- 시큐리티나 인프라 관련해서 지식이 부족해서 전체적인 프로젝트에서 기여도가 조금 낮은 것 같아서 아쉽다. 공부해서 리팩토링 때라도 기여도를 올려봐야겠다.
- TDD..! 항상 마감 기간을 맞추려고 기능 구현에만 집중하다보니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았던 적이 대부분인라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테스트 코드를 열심히 짜고 싶었다.. 하지만 이번에도 또 마감에 쫓겨서 추후 우선순위로 밀리게 되었는데 반성한다.. 리팩토링 할 때는 꼭 해야지.
앞으로 개선 할 점
- 정확한 일정 산출과 마감 기간 지키기
- 테스트 코드 작성
- 전반적인 코드 리팩토링
팀원들에게 바라는 점
- 확실히 4주는 짧은 기간이라서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 같다. 그래서 혹시 가능한 팀원분들이 있으면 데브코스 최종 프로젝트 기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리팩토링을 진행했으면 좋겠다.
- 다들 열심히 하시는 모습에서 많은 동기 부여를 받고 있다. 다들 개발 정말 좋아하시는 것 같은데.. 보고 배워야지...🔥🤯
- 프로젝트 끝났다고 모르는 사이 하지말고, 온라인이라도 뒷풀이 꼭 합시다.
데이비
잘한 점
- 이번 프로젝트에서 가장 부족했던 부분인 좋은 코드 작성법에 대해 팀원들로 부터 많은 것 들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 Service Layer의 혼잡도를 줄이기 위해 구피의 Facade Layer추가를 함으로써 엄청 편리하게 느껴졌다.
- Request Dto 에서 Service로 바로 넘기지 않고, Bundle이라는 것을 활용하여 넘긴다는 것에 대해 응집도를 높일 수 있어서 편리했다.
- 협업에 있어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할 수 있어서 좋았다.
- 주디의 Notion 템플릿들을 활용하여 이슈에 대해 작성하여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았고, 데일리스크럼 및 회고를 통해 어떤 부분들을 놓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았다.
- 주디의 Github issue 및 PR 요청시 템플릿과 Gitmoji 활용을 통해 아주 깔끔하고 예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 AWS S3 이미지 업로드를 방식을 통해 얘기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
아쉬운 점
- 가끔씩 서버가 죽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원인을 파악할 수 가 없어서 아쉬웠다.
- 시간이 조금더 있다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면 좋을 것 같다.
- CICD 과정 중에 Test 를 활용할 수 없어서 아쉬웠다.
- 테스트코드가 아직 작성이 안되었을 뿐더러, Test Stage를 만들어야하는 시간이 부족한 것 같다.
- 화면별로 역할을 분담하다보니, 백엔드에서는 역할 분담이 골고루 분배되지 않았던 것 같다.
- 다음 프로젝트를 한다면 프론트는 화면 단위로, 백엔드는 도메인별로 따로 맞아서 페어를 짓는게 좋을 것 같다.
- 여러가지 이슈들을 직접 처리하다보니 내가 맡은 도메인 개발을 빠르게 진행하지 못하여 아쉽다.
앞으로 개선 할 점
- 클린 코드 작성이 아직 많이 서툴다. 내 코드에 대해 리펙토링을 진행하면서 중복되는 로직, 네이밍 등을 수정해야 할 것 같다.
- Test 코드 작성이 필요하다.
- CICD Test Stage가 필요하다.
팀원들에게 바라는 점
시간이 거의 다와 감에 따라 시간이 많이 빠듯하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여러분들의 열정과 서로를 이해하려는 모습에서 저 또한 동기부여와 멘탈케어가 되는 것 같습니다. 이대로 조금 더 힘을 내서 마무리 지으면 좋겠습니다. : )
🚆 전체 프로젝트 진행 현황
- UI 리스트












- Storybook
- 백엔드 배포 CI/CD 관련 등등..
- AWS S3 Image Upload 구현 완료
- AWS EC2 cloudwatch 설정

자동복구 및 에러 상황 알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