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Layer
물리 계층 : 물리적인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P2P간 신뢰성있는 정보를 전송하가 위한 계층.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 수행
전송 계층 : end to end 의 신뢰성을 확보해주기 위한 계층
세션 계층 : 컴퓨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결을 담당하는 계층
표현 계층 : 데이터의 형식과 절차를 규정하는 역할. (데이터 변환, 암/복호화의 방법을 정의)
- 코드 변환, 데이터 압축, 데이터 암호화
응용계층 :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계층.

1-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데이터 링크층은 물리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재전송)을 한다.
- 데이터 링크층은 점대점(Point to Point) 간 신뢰가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기에 순환 중복 검사(CRC) 기반의 오류 및 흐름 제어(기능적, 절차적 수단 제공)가 필요하다.
- 전송되는 단위를 '프레임'이라 하고, 대표적인 장비로 브리지와 스위치 등이 있다.
- 데이터 링크층은 맥(MAC) 주소를 사용하여 통신한다.(주소 해석)
- 이 계층은 두 개의 하위 계층으로도 나뉘는데 MAC과 LLC이다. MAC은 맥 주소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해당 장비로 보내는 것이고, LLC는 각 장비를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 프로토콜은 HDLC, PPP, Frame-Relay, FDDI, ATM 등이 있다.
데이터 링크 계층 : 호스트간의 정보 전달
- 주요 역할
- 인접한 네트워크 노드들끼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
- 물리 계층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역할
대표적 프로토콜 : Ethernet
대표적 장비 : 스위치

프리엠블 : 실제 이더넷에 포함되지는 않으나, 이더넷 프레임의 시작 동기화 담당.
목적지,출발지 : host 주소 기재란
타입 : 캡슐화된 패킷의 프로토콜 정의
데이터 : 데이터가 포함된 상위 계층의 헤더와 taile을 포함.
FCS : 트레일러 부분으로 에러 체크
- 프레임 생성기능
- 회선 제어 기능
- host간 통신하는 경우 각 host 신호간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회선을 제어함.
ENQ/ACK 기법
송신측에서 Enquiry를 보내어 데이터가 필요한지 물어보면, 수신측은 Ack를 보냅니다. Ack이 송신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