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을 한 후에 api 응답값으로 해당 회원의 정보를 포함시키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회원가입 여부만을 응답값으로 받고 이후에 회원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게 더 맞지 않을까?
- UI 라이브러리를 현업에서도 많이 사용하나요?
- 현업에서 무한스크롤을 최적화 하기위한 방법이 궁금합니다 (돔개수가 무한정으로 늘어나는 문제 ?)
- 프로젝트 중간에 참여하게 됐을 때 잘 적응하는 방법
- 현업에서는 props가 많을 때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전역 상태 관리를 사용하지 않을 때)
- props로 전달 되는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객체로 묶어서 한 번에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 {…cardProps}
- 컴포넌트를 더 잘게 분리해서 각 컴포넌트마다 필요한 데이터만 전달할까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 top과 bottom으로 분리
- cardTop 컴포넌트(이미지, 북마크 여부, 좋아요 여부, 조회수)
- cardBottom 컴포넌트 (크리에이터 이름, 날짜, 제목, 등등)
- 위 1,2 번 방법이 옳은 방법인지 궁금합니다.
import { defineConfig } from 'vite';
import react from '@vitejs/plugin-react-swc'; // 새로 나왔는데 얘가 더 빨라요
export default defineConfig({
plugins: [react(), vanillaExtractPlugin()],
resolve: {
alias: [{ find: '@', replacement: '/src' }],
// 이렇게 선언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alias: {
'@/': `${process.cwd()}/src/`,
},
},
server: {
open: true,
host: '0.0.0.0',
}
});
{
"compilerOptions": {
"target": "ESNext",
"useDefineForClassFields": true,
"lib": ["DOM", "DOM.Iterable", "ESNext"],
"allowJs": false,
"skipLibCheck": true,
"esModuleInterop": false,
"allowSyntheticDefaultImports": true,
"strict": true,
"forceConsistentCasingInFileNames": true,
"module": "ESNext",
"moduleResolution": "Node",
"resolveJsonModule": true,
"isolatedModules": true,
"noEmit": true,
"jsx": "react-jsx",
"baseUrl": ".",
"paths": {
"@/*": ["src/*"]
}
},
"include": ["src/**/*"], // watch 활성화
"references": [{ "path": "./tsconfig.node.json" }]
}
- 스토리북은 7.0.0-beta 버전으로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