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브코스 Github🧙멘토 피드백은 다음 항목에서 이루어져요⭐과제(prgrms-be-devcourse org)📓 TIL(TIL 레포)📫포스팅(BE-Blog 레포)⚒️각 Org의 사용 용도🔢웹 데브코스 Org🔙 백엔드 데브코스 Org + 🚅프론트 데브코스 Org 🔙🦆백둥이의 PR 제출법💼각 상황에서의 PR 가이드
데브코스 Github
- 웹 데브코스 Org : [바로가기]
- 백엔드 데브코스 Org : [바로가기]
- 프론트 데브코스 Org : [바로가기]
🧙멘토 피드백은 다음 항목에서 이루어져요
⭐과제(prgrms-be-devcourse org)
- 멘토들은 여러분의 성장을 위해 과제의 피드백에 더 집중하려고 해요
- 리뷰어에 멘토를 걸어주세요
📓 TIL(TIL 레포)
본인의 지식 정리 방식을 서로 공유하고, 선한 영향력을 나타내주세요
- 수강생에게 필수 액션이 아니에요🙅♂️
- 멘토님 리뷰어 설정을 하지 않아요.
- 멘토들은 TIL에 다음 내용이 들어가면 좋다고 생각해요.
- (필수) 오늘 한 내용 자체보단 느낀점, 생각 등이 더 중요하기에 들어가야 합니다.
- (선택)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한 학습 정보.
- TIL은 사람마다 스타일이 다른 것 같아요. 정답은 없어요.
- 요약 3줄로 간단한 일기처럼 작성하는 사람도 있고.
- 전공서적 부럽지않게 구성하는 사람도 있어요.
- 본인에게 알맞은 방식으로 작성을 해봅시다.
- (중요) 다른 사람의 TIL이 도움이 되었다면! Comment를 남겨 감사함과 의견을 남깁시다!
- TIL - 백엔드 레이블을 추가합니다.
📫포스팅(BE-Blog 레포)
다른 백둥이들에게 나의 생각, 성장, 탐구 결과를 진득하게 정리하여 공유해봅시다.

- 수강생에게 필수 액션이 아니에요 🙅♂️
- BE-Blog 저장소를 만들었습니다. [바로가기]
- PR하면 #99-포스팅-noti 채널에 알림이 가요
- 블로그처럼 정보 공유나 의견 교환을 목적으로 올리는 글을 작성하여 PR해봅시다.
- 다음과 같은 주제나 자유 주제를 올려봅시다.
- 기술공유 : 기술에 대하여 생각하고 살펴보며 정리한 글
- 성장일기 : 개발자로 성장하는 나를 돌아보며 적어보는 진득한 일기이자 회고
- 경험공유 : 스터디, 동아리, 독서,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며 얻은 결과를 나누며 경험을 공유 또는 회고하는 글.
- DeepDive : 데브코스 커리큘럼에서 배운 내용을 더욱 깊게 파보며 탐구해보고 테스트해보는 글
⚒️각 Org의 사용 용도
🔢웹 데브코스 Org
프롱이와 백둥이가 모두 모인 Org입니다. Public으로 공개되어있습니다.
이 곳에서 TIL, Blog, Study의 결과 내용을 서로 공유하고
스터디, 동아리, 토이프로젝트, 개별 프로젝트의 repo를 자유롭게 만들고 서로를 초대하여도 됩니다.

🔙 백엔드 데브코스 Org + 🚅프론트 데브코스 Org


주된 강의에 대한 과제를 올리는 Org입니다.
각 주차 or 커리큘럼 별로 repository가 생성되어있으며 대부분 Private로 되어있습니다.
해당 주차의 branch를 생성하고, commit하여 Pull Requests를 하면
멘토님과 백둥이, 프롱이가 comment로 피드백을 해주고
피드백을 기반으로 개선하여 제출하며 과제를 더 나은 과제를 완성해보도록 합시다.
때문에 과제 제출은 각 주차를 지켜주시되, 마감 기한은 따로 없습니다.
본인이 만족할 만한 코드가 주차를 따지지 말고 계속 개선하여 올려주세요.
🔙🦆백둥이의 PR 제출법
들어가며.. branch, pr 기준
우리는 다음 방식으로 과제를 PR할 거에요! 처음엔 쉽지 않겠지만 능숙히 할 수 있어야 해요!
- TIL repo의 경우( C반 기준)
- 원본 repo
fork
이후clone
- PR > base repo :
원본repo
base :be/1/C-gitusername
← head repo :여러분fork한repo
compare :be/1/C-gitusername
- BE-Blog repo의 경우
- 원본 repo
fork
이후clone
- PR > base repo :
원본repo
base :gitusername
← head repo :여러분fork한repo
compare :gitusername
- 각 주차 과제 repo의 경우(P반 기준, 미션 번호 3번)
- 원본 repo에 미션 번호를 확인하고
branch
를 2개 생성 1p/#3_gitusername
,1p/#3_gitusername_working
- base repo :
원본repo
base :1c/#3_gitusername
← head repo :여러분fork한repo
compare :1c/#3_gitusername_working
이게 무슨 소리지..? 할 수도 있겠지만
먼저 아래 나올 내용들과 학습페이지에 나온 영상들을 확인하고
Git/Github 연습과 멘토와 팀원의 동료를 받으며 도전해봅시다
- [영상] Step5-1. Github으로 PR을 하고싶어! [TIL, 블로그 포스팅 편]
- [영상] Step5-2. Github으로 PR을 하고싶어! [서술형 과제편, TIL, 블로그 포스팅도 응용가능]
💼각 상황에서의 PR 가이드
TIL PR 방법 알아보기(리뷰어 : X, 레이블: 백엔드
)
"Talk is cheap. Show me the code." ("말은 쉽지, 코드를 보여줘.")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
📌 TIL은 어떻게 PR하나요?
TIL : TIL은 일기와 같은 거라고 생각해요. 오늘 무엇을 새롭게 알게 되었는지, 느낀점은 무엇인지 간단하게 요약해서 쓰는 것을 추천해요. 만약 새롭게 알게된 내용이 굉장히 많다면 시간을 내어 주제로 빼서 정리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PR시 리뷰어와 레이블은 어떻게 할까요?
- TIL은 수강생에게 필수 액션이 아니에요🙅♂️
- 리뷰어는 걸지 말아주세요.
- 레이블은
백엔드
를 걸어주세요.
🚀 진행방법
- 원본 org에 새로운 Branch 생성
- 백엔드 C반은
be/1/C-gitusername
- 백엔드 P반은
be/1/P-gitusername
- 여기서는 c반이라고 가정하고 진행합니다.
- TIL repo를 본인 계정에 fork
fork
된 repository에도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합니다.be/1/C-gitusername
fork
된 repository를clone
받습니다.
- 작업할 브랜치를 변경합니다.
git switch be/1/C-gitusername
- README.md를 작성하여 꾸밉시다.
- TIL소개와 url을 작성한 README.md 파일을 작성하고
commit
push
합니다.
- 웹사이트로 본인 계정의
fork
된 repo를 갑니다.
- Contribute → Open pull request 로 PR을 합시다
base repo :
원본repo
base :be/1/C-gitusername
← head repo :여러분fork한repo
compare :be/1/C-gitusername


- PR을 아래 양식에 맞춰 내용을 작성합니다. 여러개의 링크를 첨부하고 싶으시다면 테이블의 row를 추가해주세요.
# TIL |날짜|제목|설명|링크| |---|---|---|---| |날짜|제목1|간단한 한 줄 설명|[링크]()|
포스팅 PR 방법 알아보기(리뷰어:멘토△, 레이블: 기술공유
,성장일기
,경험공유
,DeepDive
택 1)
📌 Blog는 어떻게 PR하나요?
Blog는 정보 공유나 의견 교환을 목적으로 올리는 글을 말합니다. 스스로가 가진 느낌이나 품어오던 생각, 알리고 싶은 견해나 주장. 어떤 것에 탐구한 과정과 결과. 경험에 대한 회고를 나눌 수 있습니다. 단순 정보가 모인 것이 아닌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거나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영양가 있는 글을 말합니다.
🤔아직 감이 잘 오질 않아요. 좋은 예시는 없나요?
🌀PR시 리뷰어와 레이블은 어떻게 할까요?
- Blog 포스팅은 수강생에게 필수 액션이 아니에요 🙅♂️
- PR하면 #99-포스팅-noti 채널에 알림이 갑니다. 다른 백둥이들도 보게 될거에요.
- 리뷰어로 멘토님을 걸으셔도 됩니다. (부담 갖지 마세요)
- 레이블은 아래처럼 걸어주세요
기술공유
: 기술에 대하여 생각하고 살펴보며 정리한 글성장일기
: 개발자로 성장하는 나를 돌아보며 적어보는 진득한 일기이자 회고경험공유
: 스터디, 동아리, 독서,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며 얻은 결과를 나누며 경험을 공유 또는 회고하는 글.DeepDive
: 데브코스 커리큘럼에서 배운 내용을 더 깊게 파본 탐구 글
🚀 진행방법
- 원본 org에 새로운 Branch 생성
- 백엔드 C반, P반 관련 없이 branch는 모두
gitusername
- TIL repo를 본인 계정에 fork
fork
된 repository에도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합니다.gitusername
fork
된 repository를clone
받습니다.
- 작업할 브랜치를 변경합니다.
git switch gitusername
- README.md를 작성하여 꾸밉시다.
- TIL소개와 url을 작성한 README.md 파일을 작성하고
commit
push
합니다.
- 웹사이트로 본인 계정의
fork
된 repo를 갑니다.
- Contribute → Open pull request 로 PR을 합시다
base repo :
원본repo
base :gitusername
← head repo :여러분fork한repo
compare :gitusername


- PR을 아래 양식에 맞춰 내용을 작성합니다. 여러개의 링크를 첨부하고 싶으시다면 테이블의 row를 추가해주세요.
# 블로그 포스팅 | [1기 ㅇㅇㅇ]| M월 DD일 - 포스팅 제목|[링크]() | | [1기 ㅇㅇㅇ]| M월 DD일 - 포스팅 제목|[링크]() |
🏋️포스팅 내용을 멘토님에게 평가 받고 싶다면?
PR에 멘토님을 추가해보세요!
또한 피드백을 함께해줄 팀원도 Reviewer로 설정해봅시다

🤙저를 Reviewer로 설정해서 알림이 왔어요!
당신을 누군가가 인정하고 신뢰받고있군요!
읽어보고 comment를 남겨 느낌점과 조언을 남겨봅시다.
😓또 PR했는데 새로 생성이 안되요!
PR은 새로 보냈는데, Pull Request 목록에 나오질 않나요?
이는 기존에 올린 PR이 처리되지 않아서 그래요. 확인해보면 기존 PR에 방금 보낸 PR내용이 추가되어있을 거에요.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 기존 PR을 Close시킨다음 새로 PR하거나
- 기존 PR의 내용을 변경하여 업데이트해보세요
과제 PR 방법 알아보기(리뷰어 : 멘토 O , 레이블 : Team-OOO)
🔙🦆 백엔드 ORG(과제, 프로젝트 제출)
알아보기
교육 도중 과제의 종류는 크게 3개로 분류됩니다.
- 퀴즈 링크
- 조사, 연구 등 서술형 텍스트 과제(조언형 피드백)
- 프로젝트형 과제(코드리뷰 형 피드백)
여기서 2번 3번을 Github으로 제출합니다.
2️⃣서술형 텍스트 과제
- 과제를 블로그, 노션 등 확인할 수 있는 url이 있는 곳에 작성합니다
- 원본 org에 새로운 Branch 생성, 미션넘버 3이였을 때
- 백엔드 C반은
1c/#3_gitusername
,1c/#3_gitusername_working
- 백엔드 P반은
1p/#3_gitusername
,1p/#3_gitusername_working
- 여기서는 c반이라고 가정하고 진행합니다.
- 원본 repository를
clone
받고 브랜치를 변경합니다1c/#3_gitusername_working
과제명.md
를 생성합니다.
- 과제명.md 에 숙제 내용을 작성하고,
commit
push
합니다.
- 웹사이트로 원본 repo에
1c/#3_gitusername_working
브랜치를 갑니다.
- Contribute → Open pull request 로 눌러 PR을 날립니다
base repo :
원본repo
base :be/a/gitusername
← head repo :여러분fork한repo
compare :be/a/gitusername


- PR을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합니다. 스타일을 찾아나가세요 🙂 가이드는 가볍게 드립니다. 그 동안의 과제들을 모아놓고 싶다면 테이블의 row를 추가해주세요.
## 📌 과제 설명 <!-- 어떤 걸 만들었는지 대략적으로 설명해주세요 --> ## 👩💻 요구 사항과 구현 내용 <!-- 기능을 Commit 별로 잘개 쪼개고, Commit 별로 설명해주세요 --> ## ✅ 피드백 반영사항 <!-- 지난 코드리뷰에서 고친 사항을 적어주세요. 재PR 시에만 사용해 주세요! (재PR 아닌 경우 삭제) --> ## ✅ PR 포인트 & 궁금한 점 <!-- 리뷰어 분들이 집중적으로 보셨으면 하는 내용을 적어주세요 -->
- 우측 reviewer에 멘토님과 팀원을 설정합니다.

3️⃣프로젝트형 과제(코드리뷰) > 백엔드 데브코스 org
- 원본 repository를
clone
합니다.
- 미리 생성할 branch를 숙지합니다.
- 미션 넘버를 조합하여 만듭니다. 만일 미션 넘버 3이라고 할 경우
- 백엔드 C반은
1c/#3_gitusername
,1c/#3_gitusername_working
- 백엔드 P반은
1p/#3_gitusername
,1p/#3_gitusername_working
- 여기선 C반이라고 가정하고 진행합니다.
- 본인이 편한 방법으로 branch를 생성합고, 작업할 브랜치로 변경합니다.
- 웹 사이트에서 그냥 생성해도 됩니다.
이후엔 TIL 때처럼
switch
로 작업 브랜치를1c/#3_gitusername_working
변경합니다. - CLI나 에디터에서 생성해도 됩니다. CLI는 다음처럼 생성할 수 있습니다.
git checkout -b 1c/#3_gitusername
git checkout -b 1c/#3_gitusername_working
1c/#3_gitusername_working
브랜치로commit
하며 신나게 프로젝트 구현 작업을 합니다.
- 과제를 완성했다면
1c/#3_gitusername_working
브랜치로push
합니다.
- 웹사이트로 원본 repo에
1c/#3_gitusername_working
브랜치를 갑니다.
- Contribute → Open pull request 로 눌러 PR을 날립니다
base repo :
원본repo
base :1c/#3_gitusername
← head repo :여러분fork한repo
compare :1c/#3_gitusername_working


- PR에 과제의 제목과 설명을 적어봅시다.
PR 제목은
[Mission3] OOOO 구현하기
등으로 맞춰보고, PR 내용은 리뷰어를 배려하여 내용을 어떻게 구성할 지 고민해봅시다. (다른 팀원의 PR을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래는 들어가야할 내용의 가이드 라인 정도이니, 더 좋은 구성을 고민해보세요.
## 📌 과제 설명 <!-- 어떤 걸 만들었는지 대략적으로 설명해주세요 --> ## 👩💻 요구 사항과 구현 내용 <!-- 기능을 Commit 별로 잘개 쪼개고, Commit 별로 설명해주세요 --> ## ✅ 피드백 반영사항 <!-- 지난 코드리뷰에서 고친 사항을 적어주세요. 재PR 시에만 사용해 주세요! (재PR 아닌 경우 삭제) --> ## ✅ PR 포인트 & 궁금한 점 <!-- 리뷰어 분들이 집중적으로 보셨으면 하는 내용을 적어주세요 -->
- 우측 reviewer에 멘토님과 팀원을 설정합니다.

매운맛 순한맛은 무엇이죠?
멘토가 리뷰를 임하는 정도를 뜻합니다.
매운맛은 가끔 터프할수도 있겠으나 따끔하고 예리있게,
순한맛은 아직 매운맛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은 친구들이 완급조절 피드백을 요청드린 겁니다(단, 힘조절에 실패할 수도 있으니 주의..)
매운맛 : 실무 후배. 나의 부사수가 왔는데 이걸 못하면 안 되지?란 상황에서의 피드백.
순한맛 : 병아리 신병. 또는 친구의 친구에게 검토 요청을 받았는데, 건너건너 아는 사이라서 약간 조심스럽고 얕게 강약조절하며 피드백을 해주는 상황. (물론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