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ysical addressing : 말그대로 그냥 물리적 주소로 CPU가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는 방식
- virtual addressing : CPU가 메인메모리에 접근할 때, virtual address를 이용하여 접근하고 이 가상 주소를 physical address로 변환하여 접근하게 됨
- main memory에 저장된 look up table(OS에 의해 관리됨)을 통해 virtual address를 physical address로 변환
Address Spaces
- address space의 크기는 가장 큰 주소를 나타낼 때 필요한 비트의 개수로 특정지어짐
- address space의 개념으로 인해 data objects(bytes) 와 attribute(address)가 명확하게 분리가 됨
- 각각의 data object가 다른 주소공간에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주소를 가질 수 있게 됨
- 이것이 가상 메모리의 기본 아이디어임. main memory의 byte들은 virtual address space에서 선택된 virtual address를 갖게 되고, physical address space에서의 physical address를 갖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