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페이지) 표지
이곳저곳 로고 // 9팀 오프와에프 팀 // 프론트 함소진, 주형진, 용상윤 // 백엔드 김기현, 강완수, 고범석, 송무송, 박형근
2페이지) 영상 목차
프로젝트 소개 - 기술스택 - 시연 영상 - 회고
으로 진행하겠슴다
3페이지) 프로젝트 소개(간단하게 넘어감) - <이곳저곳> 소개, 기획의도
4페이지) 프로젝트 소개(간단하게 넘어감) - 팀원소개 - 팀원 역할
5페이지) 프로젝트 소개 - 협업방식(간단하게 넘어감)
2~3일에 한번씩 스프린트?단위로 디스코드에서 회의했고 노션에 회의록을 문서화, 슬랙에서는 그 외 비동기적 소통을 했다 정도로 간단하게 넘어가면 될 것 같음
6페이지) 기술스택(간단하게 넘어감) - 프론트는 이러쿵저러쿵 했음
7페이지) 기술스택(간단하게 넘어감) - 백엔드도 이러쿵저러쿵 했음
- 대충 이런 그림으로 표현?

8페이지) 시연영상 - 사용자 관점에서 회원가입부터 로그인, 게시물 댓글 등록삭제 등등… 404페이지까지 사용자관점에서 앱을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9페이지 회고)
잘한 점 // 어려웠던 점 // 개선해야할 점 정리
=============================================================
✨ 프로젝트 소개
- 즐거웠던 여행 경험을 상세한 코스 설명과 함께 작성할 수 있는 “이곳저곳”
- 작성자는 한 게시글에 여러 장소를 순서대로 배치해 여행의 과정을 순서대로 소개할 수 있음
- 등록한 장소를 자동으로 지도에서 화살표와 함께 가시적으로 표시해줌
- Kakao Map에 장소에 대한 정보를 의존하고 최신화
- 이용자는 댓글, 좋아요로 자신의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음
- 북마크로 추후 다시 보고싶은 게시글을 기록할 수 있음
✨ 기획 배경 및 동기
- 여행에 대한 정보를 찾다보면 특정 지역의 명소, 명물에 대한 나열은 찾기 쉽지만 그러한 명소들을 이어주는 최선의 동선에 대한 정보는 찾기 힘듦
- 설령 최선의 동선을 설명하는 정보글에서도 동선에 대한 정보는 점으로만 나열되어 있을뿐, 선으로 이어지는 가시적인 지도 정보는 없다고 봐도 무방함
- 여행 전 정확한 사전 조사가 없다면, 여행 2일차때 1일차에 들렀던 장소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을 방문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음
- 상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기획하게 되었음
- 또한, 근 2년간의 코로나 사태로 인해 대중들의 여행에 대한 갈증과 관심도가 최고조에 달했기 때문에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대상도 많을 뿐더러 그동안 침체기를 겪었던 관광 관련 종사자들과 소상공인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임 → 기대 효과
✨ 팀원 소개 ~~~ 및 역할
✨ 협업 방식
- Jira, slack, discord
✨ 프론트 기술 스텍
✨ 백엔드 기술 스텍
- Spring Boot : 의존성 관리 등 다양한 기술 지원을 통한 비지니스 로직 개발 집중
- JPA : ORM의 장점 사용
- Gradle
- Spring security : 로그인 처리
- EC2, S3
- Redis : 로그인 시도 처리
- QueryDsl : 복잡한 쿼리 처리
- MySQL
- Jenkins, CodeDeploy : CI/CD
- SSL 인증서 : HTTPS

시나리오
공통
- 프로젝트 소개 및 기획의도
- 프로젝트로써 가져올 차별성 or 기대 효과
- 전체적인 팀 협업 방식
- notion 정리
- 주기적인 회의
- api 문서
각 팀(back/front 순서 무관)
- 기술스택
- 시스템 구성도
- ERD(이건 백)

- 협업 방식(각각의 팀의 협업방식 or 팀 규칙)
- ex) (백)우린 Jira 쓰고 pr를 통해서 코드리뷰를 진행
- 주차별 진행 사항 or 계획? 등등
- 핵심 기능
시연 파트
- 사용자가 생각할만한 순서로 진행

마무리 파트
- 나중에 추가하고싶은 기능 or 달성하지 못한 부분
- 프로젝트에 대해 좋았던 점, 아쉬운 점
- (팀원소개가 마지막으로 올경우 각자 하고싶은 한마디)
위에서 참고
영상 촬영시 지켜야할 규칙
최종 발표 영상 촬영 가이드- 발표 자료에 따른 영상 - present.do로 녹화 진행
- 시연 영상 - zoom으로 얼굴 X 음성 및 시연 화면만 녹화만 진행
- 15분 넘으면 안됨
- 영상 음질 체크 해볼것
- 발표 제목은
[프로그래머스 웹 데브코스 2기] 팀명 - 프로젝트명 최종 발표
로 통일
최종 진행 순서 정리
인삿말
팀 09 오프와 에프 (패트와 매트 이미지?)
목차 소개
팀 소개 - 프로젝트 소개 - 협업 방식 - 시연영상 - 회고
팀 소개
프론트 3명 , 백엔드 5명 으로 진행했다. (여기에 각자 맡은 역할 간단하게 3~4개씩)
프로젝트 소개
기획배경
어쩌구저쩌구
기대효과
어쩌구저쩌구
협업 방식
커뮤니케이션
디스코드와 슬랙
기획과 디자인
피그마와 노션
API 명세서
노션
문서화
노션
Work-flow 공유
태스크관리 (프론트는 깃헙프로젝트, 백엔드는 지라)
시연영상
메인-> 로그인-> 회원가입-> 코스와 장소돌아보기 + 북마크or 좋아요 사용-> 검색사용해보기 ->코스 등록 -> 내가만든 코스 보기 -> 만든 코스 수정해보기 -> 마이페이지 -> 내가 만든 게시글 북마크 댓글 확인 -> 끝
회고
프로젝트에 대해 좋았던 점, 달성하지 못한 점
백엔드 역할 분담
완 - [코스, redis 담당]
형 - [장소, 코스 댓글, Entity 설계]
송 - [좋아요 북마크 담당] 스크럼마스터, github 관리, jira 관리, 로드밸런싱
기 - [유저, 장소 댓글] 자료 제출담당
범 - [유저, AWS 담당,Jenkins 연동] 팀장
React, NextJS, TypeScript, Recoil, Emotion, ESLint, Prettier, Git, Figma, Notion, Sl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