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 Previous Week
[전체]
[From Team 철]
[From Team 헌]
Memos
공지사항
- 지도교수님 연세대 이동에 관해
- 보조 교수님(김선준 교수님) 인수인계 진행중
- 필요에 따라 송진영 교수님께 비대면으로 면담 신청 가능 약속 받음, Slack으로 연락 가능. 커피 타임 등은 계속 진행 예정.
- 멘토 대학원생분 배정이 어떻게 될지는 아직 모름. 문의 예정
- slack 1년동안 유지 예정
- 김선준 교수님과 진행 or 새로운 교수님 찾기
- 후자는 행정적으로 가능할지 미지수
- 새로운 담당 교수님께 어떤 과정으로 이 주제가 선택되었고 어떻게 진행중인지 정리하여 발표예정
- 필요에 따라 다른 교수님께 연락드려 자문을 요청하는 방법도 존재
→ 결론 : 김선준 교수님 컨택
- 다음주 meeting도 비대면 진행
- 이거 준비하면서 김선준 교수님 meeting 준비도 같이
논문 발표(3개 논문 발표 진행)
<Weakly Supervised Domain Specific Color Naming Based on Attention >
domain 색상을 찾는것을 weakly supervised를 통해 해결
FCN-8 의 단점 : 위치 정보 손실
왜 이걸 씀..? U-NET 등 좋은게 많은데~,,
병렬 학습이 불가능해서 한쪽 올리고 한쪽 다시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
→ 구조(SGD, FCN-8 등..)만 바꿔도 성능 향상 기대
-insight-
segmentation dataset 사용해서 먼저 학습을 진행하면 어떨까
<Computational Color Naming for Human-Machine Interaction>
Pixel 단위 학습과 이미지 단위 학습을 진행
Color chip: 색상 팔레트 느낌
< Illumination Robust Color Naming via Label Propagation>
main 논문에서 중요 부분을 갖고 있음. 조명 환경에 영향이 커 다른 모델들은 성능 하락을 심함. 이를 해결하기 위해 color label 확장 방식 도입.
알아두면 좋은 용어
Image energy: 이미의 특징을 수치화, 정의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가능.
Foreground image(ROI): 이미지에 주요(관심) 영역
Basic color terms: 대부분의 언어에서 공유되는 11가지의 기본 색상
Color naming task: 관측된 색상을 basic color terms에 매칭하는 task
Intrinsic image: 하나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속성(반사율 등등)을 갖고 있는 이미지
Dichromatic reflection model: Diffuse reflection: 평범한 반사, Specular reflection: 강조된 반사
? 조명 조건이 바뀌면 shading과 specular reflection이 바뀔텐데하는 의문
Albedo: 물체가 빛을 받았을 때 반사되는 정도 단위
Chromaticity: 색의 특징
논문에서 활용하는 다양한 기법이 List of Cited Papers에 정리되어 있음.
<A computational model for color naming and describing color composition of images” by Mojsilovic> 논문 읽어보면 좋을듯
AI 위주가 아닌 계산 위주의 방식 → 복잡
계산 위주의 방식 장점 : 최적화에 쉽고 가벼움
<Weakly>
- Weakly인 이유: 불완전한 라벨을 정답으로 제공
- YOLO 패키지 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