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
개발
/강의 내용 정리/인프콘 (24.8.2)/
처음으로 기술 리더가 된 개발자를 위한 안내서

처음으로 기술 리더가 된 개발자를 위한 안내서

Capability : 내가 모르는 문제더라도Benevolent Concern: 팀원에 대한 관심Level of Communication: 소통의 원활함Number of Similarities : 리더와 팀원의 유사성Security : 심리적 안정감목적에 따른 지배와 리드 (Management 3.0 책)지배와 리드, 위임의 근거를 명확하게Predictability & Integrity : 예측 가능성담백한 피드백Alignment of Interests : 팀원과 리더의 공동 목표요약

Capability : 내가 모르는 문제더라도

  • 잃어버린 물건 메타포
    • 도와줄 수 있는 것
    • 예전에 종종 열쇠를 발견했던 곳을 찾게 한다
    • 뒤져봤고, 분명히 없을 거라고 철저히 믿는 곳을 함께 다시 “천천히” 찾는다.
  • 팀원의 문제를 파악해라. 모르는 문제더라도 좋은 질문을 던지면 해결에 다가갈 수 있다

Benevolent Concern: 팀원에 대한 관심

팀원에게 관심을 가지고 .
Q. 케미가 잘 맞는 팀원이 있고, 그렇지 않은 팀원이 있는데, 모든 팀원에게 다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나요?
Q. 팀원의 문제에 공감이 잘 안되는데, 어디까지 공감을 해야 할까요?
말하기 방식
  • 환자 : 선생님, 약을 먹는데도 무릎이 계속 아파요
  • 의사 : 무릎이 아파서 많이 힘드시겠어요. 아침에 일어나서 주무실 때까지 약을 어떻게 드시는지 말씀해 주세요.
  • 환자 : 아칭메 늦게 일어나면
  • 의사 : 약을 하루에 세 봉지 먹어야 한다는 걸 알고 있지만, 개인적인 일과 때문에 그러지 못하는군요. 어떻게 하면 잘 복용할 수 있을까요?
동감이 아닌 공감
  • 동감 : 상대방과 똑같이 감정 느끼기
  • 공감;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해주기
팀원의 고민에 대한 의식적인 관심
  • 1-ON-1이나 커피챗에서 팀원이 고민을 1주 뒤나 다음에 마주쳤을 때 꼭 언급해서 신경쓰고 있다는 ‘티’를 내면 신뢰의 수준이 바뀐다

Level of Communication: 소통의 원활함

팀원과 넓고 깊게 소통하기.
티키타카
  • 양쪽이 번갈아가면서 이야기하고 있는가?
  • 양쪽이 말하는 길이가 비슷한가?

Number of Similarities : 리더와 팀원의 유사성

리더와 팀원이 유사한 점을 공유할수록, 신뢰가 쌓인다.
리더의 적절한 TMI는 대화의 마중물. 팀원이 리더 앞에서 자신의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먼저 꺼내기는 어렵다.

Security : 심리적 안정감

  • 팀원이 현재 상황을 안전하다고 느낄수록 심리적 안정감이 있다.
Q. 팀 리더로서 어려운 이야기를 피해야 하나요?
Q. 팀원이 잘할 수 있을지 걱정되는데, 팀원의 업무에 어디까지 간섭해야 하나요?

목적에 따른 지배와 리드 (Management 3.0 책)

지배
  • 팀원의 경험이 부족한 경우
  • 구체적인 지시
    • 지금 기어를 D롭 바꾸세요
    • 지금 브레이크를 밟으세요
리드
  • 팀원의 경험이 있는 경우
  • 덜 구체적인 지시
    • 고속도로를 탑시다
    • 강남역으로 가봅시다
위임
  • 결과가 예측 가능한 경우
  • 아주 추상적인 지시 “ 잘 다녀오세요”

지배와 리드, 위임의 근거를 명확하게

  • “아직 처음부터 끝까지 하신 경험이 없으니까, 이번에는 제가 구체적으로 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잘못되면 리스크가 큰 업무여서, 배포하기 전에 저의 승인을 받아주실 수 있나요?”
  • 이미 경험이 많으신것 같아서, 배포하고 됐다고 메시지만 보내주세요.”
신뢰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역량과 경험이 부족하기에 지시하는 것
진실된 칭찬으로 팀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모든 팀원에게는 칭찬할 부분이 있다.
 

Predictability & Integrity : 예측 가능성

  • 팀원의 능력이 부족한데 괜찮다고만 이야기하면 불신이 생길 수 있다. ⇒팀원의 퍼포먼스에 대해서는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피드백이 중요
  • 장기적인 신뢰의 밑바탕. 생각하는데로 말해야 함

담백한 피드백

  • 상호가 동의할 수 있는 사실부터 시작
    • A 라고 하는 기능을 개발하는 데 2주 정도가 걸렸어요
    • 이번에 500줄 정도 수정하는 Pull Request를 올리셨어요
  • 기대수준에 대한 명확한 정의
    • 저는 이 정도의 기능을 1주 안에 개발하는 것을 기대하요
    • Pull Request는
  • 상호 소통 : A 님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Alignment of Interests : 팀원과 리더의 공동 목표

나의 목표를 팀원에게 설득하는 것이 아닌, 나와 팀원의 목표를 아우르는 공동 목표의 설정
e.g. 토스 프론트엔드는 세계적으로 알려진 프론트엔드 팀이 된다.
 

요약

기술리더는 왜 어려울까?
모든 것이 확실한 컴퓨터 세계 vs 모든 것이 불확실한 사람 세계
신뢰가 중요하다.
팀원에게 관심을 가지고 고민에 공감하고, 함께 해결하면 신뢰가 높아진다.
  • Benevolent Concern:
  • Capability
팀원과 더 많이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할수록 신뢰가 높아진다.
  • Level of communication
팀원에게 안정감을 주고, 예측 가능해질수록 신뢰가 높아진다.
  • Security
  • Predictability & Integrity
 
팀원들은 나를 믿고 좋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