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 - 기본 설정
- Merge 된 브랜치 자동 삭제
브랜치 생성 → 작업 → PR → Merge 후에 브랜치를 수동적으로 삭제해줘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이는 GIT에서 Merge된 브랜치를 자동적으로 삭제해주는 기능을 통해서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계속해서 깜빡하는 불필요한 브랜치 삭제… 😓)

(GIT Repository - Setting 설정에서 찾아 봅시다!)
🎩 GIT - Hook & Husky 설정
🪤 Hook 사용하기
- .git 폴더 안의 hooks 폴더로 갑니다.

- 여기서 사용할 것은
prepare-commit-msg
입니다. - 확장자인
.sample
를 제거합니다. - 내용을 작성!!
- ⁉️ 파일 권한 설정을 잊으면 안됩니다!! (권한 설정이 없으면 작동하지 않음.)
- 끗.
😎 Husky 설정
- npm 초기화 & husky 설치

↖ npm 초기화 하게 되면 package.json이 파일이 생성됩니다.
(초기화 시, 설정 입력란이 나오는데 전부 Enter로 넘어가도 됩니다!)
↖ 명령어 실행 시, husky가 다운로드 진행되고…

↖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husky
를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그와 함께
package.json
에 변경사항이 있다면, package-lock.json
도 함께 생기게 됩니다.
(이미 변경이력이 있다면 package-lock.json
은 이미 존재할 것입니다. )그럼 이제
package.json
를 수정해볼까요?위와 같이 변경 한다면 깔끔 하겠죠? 😁
(
package-lock.json
가 의존성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필요 구문 외에 삭제해도 무방)prepare-commit-msg
파일 생성
그리고 내용은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세요.
(
PREFIX_LIST
, BRANCHES_TO_SKIP
등은 보시고 수정해주셔야 됩니다!)- ⁉️ 파일 권한 설정을 잊으면 안됩니다!! (권한 설정이 없으면 작동하지 않음.)
- 끗.
🐶 이제 잘 작동되는지 확인해볼까요?
- 잘못된 형식의 커밋 메시지 사용 시


- 올바른 커밋 메시지 사용 시, 커밋 성공!

🔖 참고 사이트
- Hook & Hus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