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장지원 페이지/
[Notion] :
[Notion] :
/UGRP /
[2일차]

[2일차]


 

<회의 내용>

 
<상담 챗봇>
Google 학술 검색
Google 학술 검색
https://scholar.google.co.kr/scholar?q=ai+심리상담+챗봇&hl=ko&as_sdt=0&as_vis=1&oi=scholart
 
<언어 모델>
Google 학술 검색
Google 학술 검색
https://scholar.google.co.kr/scholar?hl=ko&as_sdt=0,5&as_vis=1&q=언어+모델+챗봇&btnG=
 
감정 인식 + 심리 상담 → 모호한 답에도 감정을 인식할 수 있게끔!
 
키워드 : 상담 이론, 자연어 처리, 감정 인식, 언어 모델
 
data 문제 / 이미 있지 않을까 → GPT 보다 나은 점이 없지 않을까 ,,
 
언어 모델을 활용한 상담 이론 기반 챗팅 봇 제작 및 유용성 검증 → 조금 틀어보자 좀 더 명확하게
→ 이미지를 이용한 미술 치료 (AI) → 미술 치료 AI
APT (open API 이용)
 
point
데이터 셋 찾기
주제 선정
 

Review

상담 이론 기반의 심리 상담 챗봇을 활용한 내담자 연구

 
www.researchgate.net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Min-Chul-Cha/publication/334391964_A_Study_on_the_Client_Experience_using_Chatbot_based_on_Counseling_Theory/links/6418c0a966f8522c38bda08e/A-Study-on-the-Client-Experience-using-Chatbot-based-on-Counseling-Theory.pdf
 

Introduction

 
심리 상담이 효과적인 해겵책인데도 불고하고,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러한 현상에 원인에는 비용과 같은 물질적인 문제와 사회적 낙인, 치료에 대한 두려움 등의 심리적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상담 방식이 등장하였고, 대면 상담과의 비교 연구 또한 많이 진행되었다. 실제로 유용성과 효과성이 입증되었고, 이는 매체의 전환과 같은 시도가 상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인공지능 상담사 또한 등장하였다. 인공지능 상담사는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상담 방식과 같이 물리적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개별 상담자 맞춤 서비스 제공, 피상담자의 감정 표현 촉진 등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상담자가 감정 소진, 피로 누적 등의 문제를 겪지 않게 도와준다)
 

Literature Review

  • Counseling process
상담의 단계 : Kottler은 상담을 다음과 같이 다섯 단계로 정의 하였다.
  1. 진단 단계
  1. 탐색 단계
  1. 통찰 단계
  1. 실행 단계
  1. 평가 단계
 
이 외에도 ‘공감’이 중요한 파라미터로 작용한다.
 
  • Rule-based chatbot
(만약 실제로 이 주제를 선정해서 ugrp를 진행하면 rule based 말고 다른 걸 이용해야 하지 않을까!?)
 
** 이 부분은 논문 참고하기 (딱히 중요한 내용 없어 보임,,)
 

Finding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