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 답변
주제
질문이 있다면?
- 상기
- 공부하다 보면 모르는 지식들이 꼬리를 물고 계속 생깁니다. 예를 들면) 이벤트 루프를 공부하는데 비동기, 쓰레드, 큐 등... 새로운 개념들이 계속 나와서 이벤트 루프가 뭔지 한눈에 파악하기 힘듭니다. 처음 개념을 배울 때 어디까지 알아가는 게 좋을까요?
- 우제
- 달리님께서 지난 과제 관련해서 EOF와 공백 관련 피드백을 주시면서 EditorConfig와 같은 것을 알려주셨는데 혹시 이런 코드 스타일 및 포맷팅 관련해서 어떻게 세팅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eslint, prettier
등)
- 지은
- 달리님 저번 과제 피드백 정말 감사합니다..!! 질문식으로 피드백 해 주셔서 더 생각해 볼 기회가 많아졌어요.
- 달리님이 많이 참고하시는 개발자 커뮤니티, 블로그로는 어떤곳 (혹은 어떤 사람)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종관
- TIL과 같은 개발자로서 글쓰는 것에 대해서 비교적 동기가 약합니다. 어떻게 하면 좀 더 열심히 써볼 수 있을까요..?ㅜㅜ
- 컴퓨터학과를 나와서 자주 하게 되는 얘기가 ‘CS를 나와서 개발자를 하면 전공 살리기에 백이 더 낫지 않겠냐?’ 라는 것입니다. 동시에 프론트엔드에서 언제나 하는 얘기가 ‘CS를 절대 간과하지 마라. 결국은 도 좋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선 CS 지식이 필요하다’.
- class component vs. functional component
- 바닐라js에서 함수 컴포넌트를 만든다면, 클래스 처럼 확장(상속)을 하기 위해선 proto를 사용하는 것 밖에 방법이 없는지?
아직은 주니어도 아닌 수강생이기에... 문법 공부하고 라이브러리 따다 쓰기 바쁘기에... CS 지식(네트워크, OS, DB 등)이 깊게 사용되는 경우를 잘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달리님은 프론트엔드 직군의 어떤 면에서 CS에 대한 지식이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윤성
- 노션 클론 프로젝트를 하면서 상태 관리에 대해서 어려움을 겪어서 작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개발해보려고 하는데요
서버와 통신하는 부분에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클라이언트 상태를 관리하는 라이브러리에서 직접 서버 api와 통신해서 지속적으로 state를 캐싱 해주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는 클라이언트 상태만 관리하고
api호출을 따로 하고 그 후 컴포넌트에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와 서버에서 받아온 값을 동기화 하는 방향이 좋을까요??
정말 간단한 라이브러리를 만들어도 npm배포 등을 해보면 후에 신입 채용에도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