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격 및 성능 비교
2. 회원가입
회원 가입3. Lightsail
선택 이유 : 가격 저렴하여 오랫동안 여러분 프로젝트를 유지하기 좋습니다.
- 로그인용 URL : https://scloudy.signin.aws.amazon.com/console
계정 ID를 모를 경우
루트 사용자 이메일을 사용하여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로그인 해주세요.
- 관리 콘솔


- 전체 제품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EC2, Lightsail, S3(이미지 저장과 같은 저장서비스)

- 로그인한 콘솔에서 검색해보아도 됩니다.

- 회사에서는 보통 AWS를 사용하지만 AWS가 외국회사다 보니 회사에서 법적인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Naver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인 NCP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NCP 사용법은 아래 영상 참고) 사용법은 어떤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시든지 대부분 유사합니다.
- 클라우드 서버를 할당받는다.
- 서비스와 관련있는 서버들을 연결한다.
- 원격 접속하여 코드를 배포한다.

- 콘솔에서 “Lightsail” 검색 후 클릭, let’s get started 눌러주세요.



- 만약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가 있다면 아래와 같이 떴을 것입니다. 인스턴스 생성을 눌러주세요. 위와 동일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접속 방법은 웹 접근과 원격 접속이 있습니다.
- 인스턴스 생성(우분투로 생성해 주세요.)

- 설정과 가격(플랜 선택)


- Cafe24와 비교

- 인스턴스 생성 확인 (IP로 접속하면 돌아가고 있는 서비스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잠시 기다리면 활성화되며, 웹에서 콘솔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 웹으로 접속하는 것이 편합니다. 컴퓨터에 key를 다운받고 ssh로 접속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ssh로 접속할 경우 git을 사용합시다.(명령어 통일을 위해)
- 구름IDE를 사용해보신 적이 있으시다면 구름IDE의 ssh 접속 명령어도 한 번 확인해보세요. (구름IDE도 AW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ssh -p 53435 root@15.165.76.108

- SSH키 다운로드





- 접속 명령어
ssh ubuntu@내서버IP -i ./LightsailDefaultKey-ap-northeast-2.pem

- 리눅스 명령어(
Shift
+Insert
키를 누르면 붙여넣기가 됩니다.)
chmod 400 ~/.ssh/LightsailDefaultKey-ap-northeast-2.cer ssh ubuntu@내서버IP -i ~/.ssh/LiglshtsailDefaultKey-ap-northeast-2.cer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nginx -y # nginx 시작하는 명령 # sudo systemctl start nginx cd /var/www/html/

- 파일 수정하고 여러분의 IP로 접속해보세요. 이미 접속해 있는 경우 새로고침하십시오.

- route53 검색 후 도메인 연결 (생활코딩 강의 추천해드립니다. 해당 강의는 AWS 후원으로 만들어진 강의에요.)


- 도메인 등록

- DNS 관리

- 호스팅 영역 생성(레코드 이름과 값 입력)


부록
- Networking에서 Loadbalancer를 추가하면 하나의 서버가 다운되었을 때 다른 대체 서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위에 서버를 여러개 생성해두어야 합니다.


-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대신 DB는 가격이 조금 나갑니다.



- 스냅샷 설정도 가능합니다. 매일 밤 백업을 해주는 기능이에요.

node 배포시
처음 Node 컨테이너로 생성 후 아래 코드 입력
cd htdocs rm -rf * git clone 주소 . npm i node app // 콘솔이 닫혀도 계속 실행하는 명령어는 nohup node app &, 나중에 kill 하셔야 합니다. 이는 웹 터미널이 아닌 터미널에서 실행하셔야 합니다.(https://morningame.tistory.com/154 글을 참고해보세요. 완전히 죽지 않게 하려면 forever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 node 배포시 static IP 생성 필요.

- 서버 선택 후 Create

- 생성된 아이피 기록

- Node 클릭 후 Networking 탭으로 이동

- 아래 add rule을 통해 8080포트 Create

- 생성 확인

- 고정아이피:8080으로 접속

- node 배포시 CSP 정책에 따라 배포가 제대로 안되는(CSS가 제대로 보이지 않는) 현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마다 아래 글에 따라 조치해주시면 됩니다.
- 위 조치로도 안되는 경우는 아래 사항을 참고해주세요.
app.use(helmet())
코드 삭제(아래 코드를 모두 입력한 것과 같습니다.)- 아래 코드 추가
.png?table=block&id=ae3b66f9-680e-4eaf-992f-1c5026233ff2&cache=v2)
app.use(helmet({ contentSecurityPolicy:fal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