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Notion
W1. Introduction
Media
- PPT-based presentation
- Notion pages
Contents
Introduction
강사 소개
- 21학번 컴퓨터트랙 강민철
- 그저 뉴비
- estj
- 관심 분야
- 활동
- (전) 유튜브 편집자
- 디지로이드 노션 관리자
- 디코더 웹 개발팀 리더
- 진행 프로젝트: (개인) 면접 탈락 안내 생성기
- 디코더 앱 개발팀 소속
- 진행 프로젝트: (개인) 투두 리스트 앱 / (팀) 오늘의 음악 추천
코스 소개
- 수업 시간
- 매주 화요일 21~22시 (+ 15분 가능)
- 녹강 업로드: 수업 종료 뒤, 자정 이후
- 수업 방식
- 기능 설명 사이 사이에 실습
- 복습
- 비대면은 필수, 대면은 선택(이지만 해야겠지..?)
- 노션 연습을 위해 노션만 인정
- 처음에는 가독성 신경쓰지 말고, 점차 배워나가면서 수정 권장
- 과제
- 최종: 자신만의 메인페이지 만들기
- 매주: 메인페이지 구성에 도움이 될 만한 하위 페이지들을 하나씩 만들어 볼 것
- 코스 룰
- 노션 페이지 참고
Why Notion?
우리는 왜 문서 작업을 할까?
- 문자의 등장은 인류의 역사를 ‘선사시대’와 ‘역사시대’로 구분지을 만큼 인류 역사상 중대한 발명 중 하나였음
- 문자 기록은 동굴의 벽과 짐승의 가죽 등에 문자를 새기는 것부터 시작하여 펜과 잉크의 시대를 거쳐 인쇄로, 또다시 발전을 거쳐 현재의 프로그램 기반 문서의 시대에 이르렀음
어떤 프로그램들을 사용하는가?
- 메모장 / 한컴 / MS Office / Google Docs / Samsung Notes / cmd 내장 프로그램(vim, nano, …) / 티스토리 / Gist / 네이버 블로그 / . . .
심지어Adobe / 그림판 / . . .
왜 노션인가?
- 직관적입니다.
- 배우는 것이 쉽고 빠름
- 심지어 노션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 설명서는 그 어떤 프로그램에서 보았던 것보다도 훨씬 높은 가독성을 갖추고 있음
- 마크다운을 지원함
- 익숙해질 수록 기존의 문서 툴 대비, 동급 퀄리티의 문서를 훨씬 빠르게 제작 가능
- Categorization에 유리합니다.
- 문서 하나 하나를 폴더처럼 사용 가능
- 문서 내에서도 여러가지 구분 방법을 지원
- 공동작업이 가능합니다.
- 계정 미소유자에게도 페이지 공유가 가능
- 초대를 통해 co-work 가능
- 권한 부여를 통해 접근 정도 조절 가능
- 실시간 동시 수정이 가능
- 이용자가 많습니다.
- 서드파티 툴이 다양함
- 모르는 내용에 대한 답변을 찾기 쉬움
- 자동 백업과 버전 관리를 지원합니다. (매우 중요)
- 수정 기록들이 타임라인에 저장됨
단점은?
- 한국어 사용 시 잔 버그가 있음
-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이 미흡한 상태
- 바닐라 상태로는 한정적인 것이 많음
- 폰트, 위젯, 배경 등
What we will do?
- 만들어둔 페이지 보여주기
- 메인페이지
- 투두리스트
- 팀 프로젝트 페이지
- 동아리 페이지
- 공부 기록 페이지
- 프밍 history 페이지
- 코스 페이지 소개
- Student pages 소개
- Name: 수강자 이름
- Type: 온라인/오프라인 수강 구분
- Status: 과제 제출 확인
- Last Update: 최종 편집 일시
W2. Basic Features
Media
- Notion sub-pages
Contents
1. Student Page 수정 안내
- 명단 및 참여방법 확정 짓기
- 페이지 설정법 안내
2. 노션의 기본 블럭 소개
블럭 설명
- 기본 단위 = 블럭
- hierarchy 설명
- 제어
- 블럭 추가
- 클릭
- 명령어
- 마크다운
- 블럭 이동
- 드래그 앤 드롭
- [Ctrl + x] ⇒ [Ctrl + v]
- [옮기기] 사용
- 블럭 삭제
- 블럭 선택 ⇒ [Del] or [Backspace]
- [Ctrl + x]
- 인덴트 ⇒ hierarchy
- 드래그
- [Tab] & [Shift + Tab]
- 블록 핸들
노션 기본 블럭들
- 페이지
- 페이지 생성
- 페이지 링크
- 기본 텍스트
- 텍스트 블럭
- 제목 블럭
- 기능성 텍스트
- 목록
- 번호 매기기 목록
- 글머리 기호 목록
- 토글 목록
- 할 일 목록
- 간단한 표 생성
- 인용
- 콜아웃
- 구분선
3. 노션 조작법
상단 바
- left panel 토글
- 탐색
- 뒤로 가기
- 앞으로 가기
- 새 탭 열기
- path 확인
- 공유
- 댓글
- 타임라인
- 즐겨찾기 등록 및 해제
- right panel 토글
왼쪽 사이드 바
- 워크스페이스
- 검색
- 업데이트
- 팀스페이스
- 설정
- 페이지
- 템플릿
- 가져오기
- 휴지통
우측 사이드 바
(중복 기능들은 스킵)
- 스타일
- 폰트
- 텍스트 사이즈
- 페이지 너비
- 옮기기
- 페이지 스타일링
- 잠금
- 복제
- 삭제된 페이지 표시
- 내보내기
- 연결
- 히든 상단 바
W3. Advanced Features
Media
- Notion sub-pages
Contents
미디어
- 이미지
- 동영상
- 오디오
- 북마크
- 파일
코드
- 인라인 코드
- 코드 블럭
- 코드 블럭 - Mermaid
수식
- 인라인 수식
- 수식 블럭
열 나누기
2~5
인라인 멘션 & 리마인더
- 페이지 멘션
- 사용자 멘션
- 날짜 멘션
- 날짜 리마인더
매크로
- 버튼 (구: 템플릿)
동기화
기타
- 목차
- 이동 경로
- 각종 임베드
AI 블럭
소개만 잠깐
(Before Midterm)
(After Midterm)
W4. Database
Media
- Notion sub-pages
Contents
Introduction
- Why? What?
- Examples
- Mine
- Community Templates
방식
- 하나 하나가 전부 페이지이자 블럭임
⇒ 그냥 다른 블럭들 다루던 대로 다루라는 뜻
Basics
생성하기
- 인라인
- 페이지 내에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하는 방법
- 간단하고 적은 양의 데이터를 보여줄 때
- 데이터베이스 ‘보기’
-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오는’ 방법
- 서로 다른 여러 데이터베이스들을 한 블럭으로 보여주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설명을 작성해주고 싶은 경우 사용
- 데이터베이스 페이지
- 페이지 생성 후 옵션에서 데이터베이스 클릭 시 생성
- 사실 인라인 데이터베이스도 내부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 페이지를 가지고 있음
- 제목의 화살표 표시를 눌러보면 알 수 있다
- 다른 블럭은 추가할 수 없고, 간단한 텍스트 설명만 추가 가능
여러 가지 형식
- 표
- 데이터를 수정하기에 가장 용이함
- 다른 보기 방식을 원하더라도 무조건 이 방식으로 먼저 데이터를 정리하기
- 보드
- 갤러리
- 리스트
- 캘린더
- 타임라인
데이터베이스 편집
- 보기 설정
- 속성 설정
- 계산 설정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합쳐서 보여주기
-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들을 생성해두고
- ‘보기’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블럭 생성
- 원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하나씩 불러오기
Advanced Options
W5. 3rd-party Stuff and Notion Class Ending
Media
- Notion sub-pag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