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리오 목적
📌 학생마다 맞춤형 세특 주제를 추천하고 싶지만, 시간은 늘 부족하다?
바쁜 교사 업무 속에서 학생별 맞춤형 세특 주제를 추천해주고 싶지만,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해 고민되셨죠? 😮💨
각 학생의 특성과 목표에 맞는 세특 주제를 고민하고, 하나하나 맞춤형으로 작성하는 일은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그렇다고 학생들에게 일괄적인 주제를 제시하는 것도 아쉬운 상황이었을 거예요.
이제 노션 양식과 Make를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으로
학생들이 제출한 정보(내신 등급, 관심 학과, 이전 세특 활동, 수행평가 주제)를 기반으로
학생 개별 맞춤형 세특 주제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Gmail로 바로 전송할 수 있어요. 🚀
📩 한 번 클릭으로!
학생 개개인에게 적합한 세특 주제가 자동으로 생성 → 정리 → 전송!
복잡한 작업은 AI에게 맡기고, 학생들은 자기에게 맞는 세특 주제를 빠르게 받아볼 수 있습니다. 😊


Make 시나리오 흐름 및 모듈별 설정 안내

1) Notion - Search Objects (노션 양식을 통한 세특 기초조사 DB)

- Connection type은
Notion Internal
, Internal Integration Token은 위에서 발급받은 API 키를 넣으면 됩니다.

Database ID는 메신저 내용을 요약할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다음 글자부터 ?
앞까지가 Database ID에 해당합니다. 중간에 마우서 커서를 올리고 두 번만 클릭하시면 해당 부분만 선택이 됩니다. 복사+붙여넣기를 하시면 됩니다.

- Filter에서는 발송 완료(Checkbox)가
false
인 데이터만 불러올 예정이므로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이렇게 하면 이미 제작이 완료된 데이터는 불러오지 않기 때문에 자동화의 느낌을 낼 수 있겠죠?
- 학생 수에 맞춰 Limit도 적절하게 조절해보세요!i
2) OpenAI - Create a Completion

🧠 OpenAI 프롬프트 구성 예시
당신은 고등학생들을 위한 화학 교육 전문가입니다. 당신의 임무는 학생들이 '화학 세미나' 수행평가를 위해 개인화된 화학 세미나 주제 5가지를 추천하는 것입니다. 학생의 목표 학과, 내신 점수대, 고급화학 과목에서 담당한 단원, 이전 학생의 활동을 바탕으로 학생에게 가장 적합한 주제를 선정해 주세요. 작업 지침: 1. 학생 프로필 분석: 학생의 목표학과를 확인하여 관련된 화학 분야를 파악합니다. (예: 화학공학, 생화학, 환경과학 등) - 목표 학과 : {{1.properties_value.`본인의 희망 학과를 작성해주세요.`[].plain_text}} 학생의 내신 점수대를 확인하여 주제의 난이도를 조정합니다. - 내신 점수대 : {{1.properties_value.`본인의 현재 내신 등급대를 작성해주세요.`[].plain_text}} 고급화학에서 담당한 단원을 확인하여 학생이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주제를 추천합니다. - 고급화학 담당 단원 : {{1.properties_value.`화학 커뮤니케이터 수행평가에서 담당한 단원을 작성해주세요.`[].plain_text}} 이전 학생들의 활동을 검토하여 중복된 주제를 피하고 심화된 새로운 아이디어를 추천합니다. - 이전 활동 : {{1.properties_value.`기존 1~3학년간 과학(화학), 동아리 등에서 진행했던 본인의 활동 주제와 간략한 내용을 정리해서 작성해주세요.`[].plain_text}} 2. 주제 선정: 학생의 목표 학과, 성취 수준, 학습 단원과 연관된 주제 중에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화학 세미나 주제 5가지를 선정합니다. 주제는 학생의 수준과 관심사에 맞도록 조정하며, 이전 학생들이 사용하지 않은 주제를 우선적으로 추천합니다. 각 주제는 짧고 명확하게,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제시합니다: - 금속 나노 입자의 광학적 특성 및 바이오센서로의 활용 가능성 - 커피찌꺼기의 활용에 대한 탐구 : 바이오 매스와 연료의 관점에서 출력 형식: 주제 1: 주제 2: 주제 3: 주제 4: 주제 5:
- OpenAI가 추천해준 5가지의 세특 주제(예시)

3) Perplexity AI - Create a Chat Completion

🧠 Perplexity 모듈 프롬프트 구성 예시
다음은 학생의 고급 화학 과목의 화학 세미나 주제와 관련된 세특 주제 리스트입니다. - 세특 주제 : {{2.result}} 각 세특 주제와 관련된 최신 뉴스, 논문 및 연구 문헌을 조사해주세요. 5가지 주제 모두 조사해주세요.
이 프롬프트는 OpenAI 모듈에서 추천한 5가지 세특 주제를 바탕으로Perplexity가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자료 조사를 진행하는 구조예요.
- OpenAI 모듈: 학생의 관심 분야에 맞춰 세특 주제를 자동으로 추천
- Perplexity 모듈: 추천된 주제에 대해 최신 뉴스, 논문, 연구 자료를 조사하여 정보를 제공
이후 Claude에게 넘겨서 학생 맞춤형 세특 주제로 자연스럽게 재작성하거나,바로 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최적화할 수 있어요. 🚀

4) Tools - Set multiple variables


🧠 세특 주제 가이 프롬프트 구성 예시
교사용 세특(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주제 추천 뉴스레터를 작성해 주세요. 다음 구성과 스타일을 따라주세요: 1. 문서 형식: - 문서 제목은 "주제 [번호]: [주제명]"으로 시작 - 첫 번째 섹션은 반드시 "핵심 연구 동향"으로 시작하고 해당 주제의 최신 동향 소개 - 중간에 "심화 탐구 주제" 섹션에 글머리 기호(•)로 3가지 세부 주제 나열 - "진로 연계" 섹션에서 관련 학문 분야와 직업군 제시 - 마지막에 "주요 특성 및 연구" 섹션으로 마무리 2. 내용 요소: - 해당 주제의 교육적 의의와 최신 연구/이론 동향 포함 - 교과별 특성에 맞는 전문 용어와 개념 적절히 사용 - 학생들이 심화 탐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질문이나 주제 제안 - 해당 주제가 다양한 진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설명 - 교사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정보 포함 3. 문체와 스타일: - 교육 전문가로서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어조 사용 - '-습니다', '-입니다'와 같은 격식체 종결어미 사용 - 각 섹션은 2-3개 문단으로 구성하여 읽기 쉽게 작성 - 교육적 가치와 학생 발달에 초점을 맞춘 서술 방식
🧠 HTML 프롬프트 구성 예시
한국어 뉴스레터/웹페이지의 디자인 스타일 HTML을 구현해 주세요. 다음 디자인 요소를 적용해 주세요: 1. 색상 스키마: - 주요 색상: 파란색(#0068B7)과 하늘색(#E6F3FF) 계열 사용 - 배경색: 흰색(#FFFFFF)을 기본으로, 일부 섹션은 연한 파란색(#F0F8FF) 배경 - 텍스트 색상: 기본 검정색(#333333), 강조 텍스트는 파란색(#0068B7) - 구분선: 연한 회색(#EEEEEE) 2. 타이포그래피: - 기본 글꼴: 'Noto Sans KR', 'Malgun Gothic', sans-serif - 제목: 굵은 글씨체(bold), 18-22px - 소제목: 중간 굵기(semi-bold), 16px, 파란색 - 본문: 일반 굵기(regular), 14-15px - 부가 정보: 얇은 글씨체(light), 12px, 회색(#666666) 3. 레이아웃 구조: - 최대 너비: 800px, 가운데 정렬 - 상단 탭 메뉴: 균등 분할된 4개의 탭, 높이 40px - 여백: 섹션 간 20px, 내부 패딩 15px - 메인 비주얼: 너비 100%, 비율 16:9 - 콘텐츠 영역: 좌우 패딩 15-20px 4. UI 요소: - 불릿 포인트: 파란색 원형(•), 크기 8px, 텍스트와 8px 간격 - 링크: 파란색 텍스트에 밑줄, 호버 시 진한 파란색으로 변경 - 구분선: 1px 실선, 연한 회색 - 강조 박스: 연한 파란색 배경(#E6F3FF)에 1px 파란색 테두리, 모서리 반경 4px - 버튼: 파란색 배경, 흰색 텍스트, 패딩 8px 12px, 모서리 반경 4px 5. 반응형 고려사항: - 모바일 화면(600px 이하): - 글자 크기 축소 (제목 18px, 본문 14px) - 여백 축소 (섹션 간 15px, 내부 패딩 10px) - 탭 메뉴 높이 축소 (35px) - 전체 콘텐츠는 화면 너비에 맞게 조정 - 이미지는 비율을 유지하며 크기 조정 6. 시각적 계층구조: - 정보의 중요도에 따른 명확한 시각적 계층 - 제목 > 소제목 > 강조 텍스트 > 일반 텍스트 > 부가 정보 - 중요 섹션은 배경색이나 테두리로 시각적 구분 - 관련 정보는 들여쓰기나 그룹화하여 표시
5) Anthropic Claude - Create a Prompt(뉴스레터 글 구성)

🤖 Claude 모듈 설정 정리 및 사용 이유
🎯 활용 목적
- Perplexity AI로 수집한 최신 시사·과학 자료를 바탕으로
- 세특 가이드 본문을 Claude에게 생성하도록 지시함
📌 Claude 모듈 설정 요약
항목 | 설명 |
Model | Claude 3.7 Sonnet (장문 작성에 적합한 모델 선택) |
Max Tokens | 최대 20,000 토큰으로 설정 (뉴스레터 전체 내용 생성 가능하도록 여유 있게 확보) |
Role | User (프롬프트를 Claude에 전달하는 역할) |
Content - Text | Claude에게 전달할 실제 프롬프트 내용 포함:→ 최신 자료 조사 결과와 뉴스레터 문체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4000자 내외의 뉴스레터를 작성하라”는 명령 포함 |
출력 형식 | JSON (후속 자동화를 위한 파싱 편의성 확보) |
🧠 Claude 모듈 프롬프트 예시
최신 자료 조사의 내용을 모두 참고하여 고등학생을 위한 뉴스레터 프롬프트를 보고 4000자 사이의 긴 뉴스레터를 만들어줘. - 최신 자료 조사 : {{3.choices[].message.content}} // Perplexity AI - 뉴스레터프롬프트 : {{6.`세특 주제 가이드 프롬프트`}}// Tools 출력형식 : json

6) Anthropic Claude - Create a Prompt(뉴스레터 HTML 구성)

🧩 Claude를 활용한 HTML 변환 프롬프트 설정 정리
🎯 목적
- 텍스트로 작성된 본문을 Claude에게 전달하여 설명 없이, 순수 HTML 형식으로 변환된 출력을 얻기 위함
📌 설정 요약
항목 | 설정 내용 |
Model | Claude 3.7 Sonnet |
Max Tokens | 20000 (HTML 출력에 충분한 길이 확보) |
Messages - Role | User (Claude에게 요청하는 역할) |
Content > Text | 뉴스레터 프롬프트와 실제 본문 데이터를 포함하여 Claude에게 전달 |
🧠 Claude 모듈 프롬프트 예시
{{6.HTML 프롬프트}} 세특 가이드 내용 : {{{7.content[].text}}} 출력형식 : 설명없이 HTML only
7) Gmail - Send an Email

📩 Gmail 모듈 설정 정리 (뉴스레터 자동 발송용)
🎯 목적
- Notion DB에 저장된 이메일 주소, 뉴스레터 제목, 본문을 기반으로
학생들에게 개별 맞춤 세특 가이드를 Gmail을 통해 자동 발송 가능
📌 주요 설정 항목 설명
항목 | 내용 |
Connection | Gmail 계정 연결 (보안 제한 계정도 사용 가능) |
To (받는 사람) | Properties Value.이메일 주소는? → Notion DB에 저장된 학생 이메일 주소를 자동 참조 |
Subject (제목) | ㅇㅇ 과목 ㅁㅁ 수행평가 주제 추천(학교 + 이름) |
Content (본문) | Text Response → Claude에서 생성한 뉴스레터 본문 내용을 삽입 : HTML 포맷 지원 가능 (<h2> , <p> , <ul> 등 사용 가능) |
8) Notion - Update a Database Item(발송 완료 업데이트)

🌱 발행 완료 상태 Notion 자동 업데이트 정리
📌 설정 항목 요약 (Notion - Update a Database Item 모듈)
항목 | 설정 내용 |
Database ID | 세특 기초조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Notion DB ID |
Database Item ID | Page ID 사용 |
발행완료 | Yes 로 체크 → 해당 학생에게 세특 주제가 발송되었음을 표시→ 다음 자동 발송에서 제외할 조건 필터로 활용 가능 |
필드명 | 바인딩 값 | 설명 |
학년 / 반 / 번호 | Properties Value: 학년 / 반 / 번호 | 학번 정보를 분리해 템플릿에 삽입 |
이름 | Properties Value: 학생 이름 | 학생의 이름을 텍스트로 출력 |
결석 사유 | Properties Value: 종류(대) , 종류(소) | 질병/인정/미인정 + 세부 유형(지각/조퇴 등) |
시작 날짜 | Properties Value: 시작 날짜 | 결석 시작일 (Start 포맷 사용) |
종료 날짜 | Properties Value: 종료 날짜 | 결석 종료일 (Start 포맷 사용) |
총 날짜 | Properties Value: 총 날짜 | 결석 기간 총 일수 (숫자 형식) |
확인 날짜 | Properties Value: 확인 날짜 | 결석계가 처리된 일자, 확인용 날짜 |
실제 학생들에게 전달된 세특 가이드! 확인해보실래요?


아래 blueprint 파일을 다운받으시고, Make에서 Import blueprint를 이용하여 자동화를 체험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