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LO의 발전 과정
- YOLO v1 - 당시 SOTA 모델 중 real-time 성능 best
- Grid cell로 분할 후, 하나의 grid cell이 하나의 class를 예측
- NMS (None Maximum Suppression)
- 여러개의 bounding box 생성 후, IoU(Intersection of Union) 값이 가장 높은 것만 남김
- 24 Conv. layers + 2 FC layers + ImageNet dataset
- Pre-trained Darknet 사용
- Parameter 검수 과정 O
- Loss function
- Bounding box loss + Classification loss 한번에 optim.
- SSE (Sum squared error)
.png?table=block&id=8902d2df-26b7-4771-a3e8-5e038ef56f41&cache=v2)
- YOLO v2
- YOLO v3
- YOLO v4
- YOLO v5
- YOLO v6
- YOLO v7
- YOLO v8
Abstract
Real-time object detection 성능 향상
- 아키텍처 optim.
- training opt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