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 조사 질문 수정
[설문 목적]
해당 설문 조사에서는 다음을 목적으로 합니다.
1. 사진, 또는 그림을 통해서 감정을 느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2. 만약 감정을 느낄 수 있다면, 느낄 수 있는 감정이 사진, 또는 그림마다 일관성을 띄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3. 느낀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설문 방법]
1. 예시 사진을 보고 유발된 감정을 생각해 본다.
2. 느낀 감정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려서 그림, 또는 이미지 파일로 첨부한다.
3. 유발된 감정이 {감정}과 일치하는지에 대한 점수를 부여한다.
4. 그림에 {감정}이 잘 표현된 것 같은지에 대한 점수를 부여한다.
감정 고를 때 랜덤으로 고르기!
Awe는 경외로움을 의미한다. "경외심"이나 "놀라움"을 의미합니다. 어떤 것이 매우 강력하거나 아름답거나 놀라운 느낌을 주어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존경하거나 놀라게 만들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자연의 아름다움, 위대한 예술 작품, 혹은 누군가의 행동이나 성격 등이 놀라움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Awe 그림은 대체로 다채로운 색깔을 가지고 있고(colorfulness), 밝기가 높으며(brightness), 놀라워 하는 사람들이 그림 속에 등장합니다(facial emotion). 또한 눈 덮인 거대한 산 같은 모습(scene type)이 많이 등장하고, 성(object class), 그리고 문제 정답을 맞추는 모습들이(human action) 그림 속에 많이 포함 됩니다.
해당 그림은 자신이 그린 그림을 평가하는 질문입니다. 자신이 그린 그림을 보았을 때 해당 감정, 또는 비슷한 감정이 느껴지셨나요?
flow
감정을 소통하기 어렵다. 그림으로 데이터 셋 구축 or 그림으로 소통할 수 있는 만들기
goal1: 그림에 감정이 들어간다.
goal2: 그림에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문제: 사진 예시, 질문: 순서대로 매겨주세요 → 근데 혼란올 수 있다.
이미지 두 세 개 씩 넣어서 속성에 대한 학습을 해준다?
- 예시 사진 어케할지
- 속성 넣어 달라하는 건 좋은 거 같음
- 질문 없애고, 주석자 (우리)가 평가하기
⇒ 의도 적기
나이브 베이즈 처럼 이모셋을 통해서 속성을 라벨링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