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boutMeBlogGuest
© 2025 Sejin Cha. All rights reserved.
Built with Next.js, deployed on Vercel
장지원 페이지/
📕
2024 UGRP
/
📝
회의록
/
📝
2024/11/05 회의록 (마무리1)
📝

2024/11/05 회의록 (마무리1)

 
위 제목은 예시 입니다. 회의록 작성 시 “날짜 ‘회의록’ (회의 내용 요약)” 형식으로 제목을 수정해 주세요:)
 

[회의 주제]

 

[To-do]

 

[세부 내용 메모]

  • sketch of 감정 자동으로 크롤링 될 수 있도록 ⇒ 이미지 인식을 못함
  • 설문조사 마무리
    • hugging face에(link)
 
  • 오늘 할 거
    • dataset을 GPT에 58%
    • test를 쉬운거로 넣으면 잘 맞출 수 있으니 testset을 정하자.
  • test set을 어떻게 나눌까
 
  • emoset label 안 바꾼거
    • LoRA 모델 짤 때 layer를 얹어서 학습
    • train을 시킬 때 layer를 더 시켜야하나?
    • LoRA base로 ?
 
  • Children sketch(조건 하나 추가 되는 느낌?)
    • 쓰면 좋을 듯?!
    • emoset base + children
    • emoset base , children X
 
 
  • 그냥 모델: xodhks/EmoSet118K
  • GAN 추가: xodhks/EmoSet118K_MonetStyle
 

보고서

모델 구현 까지가 우리 목표?!
그냥 이렇게 쓸 수 있다~를 적어주면 될 듯?!
e.g.
  • 다중 감정 분류
    • 하나의 데이터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감정 파악
    • 예술치료 그림으로 이뤄지는데 더 넓은 분석 방향제공?!
  • 스케치 데이터 설명 모델
    • 설명해주는,, 해석해주는,, 우리 그림 설명 레이블 있으니까
  • 실시간으로 감정 분석
    • 본인도 그림그리며 파악하지 못한 감정들을 알려줘서 표현하는 방법 배우게하기
junsu’s idea. 모델을 다 구현하고, 대화 형식으로 의도 분석하고, 결과창을 보여줌으로써 예술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 시간 나면 추가해보자. 마무리하기에는 좋을 듯!
 
 

제목

💡
후보들
후보1: 예술치료 인공지능 개발 및 유효성 검증
후보2: 감정 라벨링 스케치 데이터셋 구축 및 제한적 데이터 환경에서의 PEFT 기반 모델 성능 향상 연구
후보3: 감정 스케치 데이터셋 구축 및 제한적 데이터 환경에서의 PEFT 기반 모델 성능 향상 연구
후보4: 예술치료를 위한 감정 스케치 데이터셋 구축 및 제한적 데이터 환경에서의 PEFT 기반 모델 성능 향상 연구
후보5: 심리 치유를 위한 그림 속 감정 탐구: PEFT 기반 AI 접근법
후보 6: 감정-스케치 데이터 셋 구축 및 PEFT를 통한 모델 성능 향상 연구: (최종적인 목표) 미술 치료 도구로써 활용하기.
후보 7: 심리 치료를 위한 그림 속 감정 탐구: 감정-스케치 데이터 셋 구축 및 PEFT 기반 AI 접근법
심리 치료를 위한 그림 속 감정 탐구: 감정-스케치 데이터 셋 구축 및 PEFT 기반 AI 접근법 (Exploring Emotions in Therapeutic Art: Building an Emotion-Sketch Dataset and a PEFT-Based AI Approach)

[다음 회의 주제 및 To-do]

 
담주까지 ToDo
  • 파인튜닝 메소드, 파라미터 fix 시키고 데이터 셋 test
    • emoset → form
    • emoset+form → form
    • emoset(GAN) → form
    • emoset(GAN)+form → form
    • emoset(GAN)+crawling → form
    • emoset(GAN)+crawling+form → form
    • form → form
  • 데이터 셋, 파라미터 fix 시키고, 파인튜닝 메소드 test
    • original fine tuning
    • adpter
    • LoRA
  • 파인튜닝 메소드, 데이터 셋 fix 시키고, 파라미터 test
    • LoRA’s param tuning
 
 
emoset/GAN 학습시켜오기
 

나중에 지피티로 대화하는 것 까지 구현해 보기

 

  1. LoRA paper 찾아오기 - 태완, 지원
  1. Emoset, GAN 학습해 오기 - 태완, 지원
  1. form - 지원
  1. crawling 모아오기 - 지원
  1. Drive 들어가면 최종보고서 쓰는 곳 있음(link) - 연구 목표까지 써오기!
 
  1. 보고서 작성해 오기 - 아현, 준수
  1. figure 알잘딱 해서 만들어 오기 - 아현, 준수
 
  1. 설문 조사 예산 처리 - 준수
  1. 학회 예산 처리 - 지원
  1. 이름 메일 보내기 -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