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
- 컴포넌트는 어떤 기준으로 분류를 하는게 좋을까요? 기준이 너무 넓으면 재사용성이 떨어지는것 같고, 작은것도 추상화 할려고 하면 컴포넌트가 많이 생겨서 관리하는게 어려울것 같아서 어느 기준으로 설계를 해야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 비효율적이더라도 보이는 상황만큼 구현을 해본다. 시간이지나면서 기준이 명확해진다.
취업
취업을 목표로 두고 있다 보니 취업 질문을 안할수가 없는것 같습니다..ㅜㅜ
- 취업시장이 지금 많이 힘들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현업에 계신쪽에서도 취업문이 좁아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시나요..?
- 당근마켓은 신입에게 어떤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나요?
- 한 회사에 붙는 경우 여러 회사를 붙게된다. 채용자 입장에서 보는 눈이 비슷비슷하다. 주도적인 경험을 통해 죽이되든 밥이되든 끝까지 해나가는 사람.
- 일상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실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경우.
- ‘마스크 재입고 알리미’ 개발 . 출시를 했고, 이런 성과를 내었다. → 주도적인 개발. → 채용
- 프로젝트 수상을 3번이나 했다. 기술력? 확실하지는 않다. 하지만 팀을 이끌어가는 면이 뛰어난 걸 알 수 있어서 면접을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