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카테고리]
6가지 감정 카테고리
Big-Six 모델 기반의 카모티콘 및 표정 언어 개발 연구![Big-Six 모델 기반의 카모티콘 및 표정 언어 개발 연구]()
subcortex.com![subcortex.com]()
manuscriptlink-society-file.s3-ap-northeast-1.amazonaws.com![manuscriptlink-society-file.s3-ap-northeast-1.amazonaws.com]()
Taylor & FrancisApproaches To Emotion | Klaus R. Scherer, Paul Ekman | Taylor & Franci
APA PsycNetAPA PsycNet
ref1.
Big-Six 모델 기반의 카모티콘 및 표정 언어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 of Carmoticon and Facial Express Language Based on Big-Six Model - Automobile;Big Six;Carmoticon;Facial Express-;Language
찰스 다윈은 진화론에 입각하여 각 정서마다 표현 형태와 기능진화적 (Charles Darwin, 1872)
역사의 고유성이 있음을 전제하고 기쁨슬픔놀라움공포혐오분노 등 개의 정서를 Big Six
로 칭하며 기본 감정으로 분류하였다.
폴 에크만과 월터 프리젠은 다윈의 에 기본적인 표정을 (Paul Ekman) (Walter Friesen) Big Six
가정하였다
한편 대부분의 연구에서 정서의 기본 상태라는 것이 규정할 수 없는 차원임을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가운데 즐거움 기쁨 슬픔 분노 공포 혐오 놀라움 등 의 범주가 주로 논의되고 있으며…
ref2.
subcortex.com
The most famous of these are the Big Six, used in Paul Ekman’s research on pancultural recognition of emotional expressions (Ekman et al. 1969). The Big Six emotions are happiness, sadness, fear, surprise, anger, and disgust. These have become the mostly widely accepted candidates for basic emotions.
ref3.
manuscriptlink-society-file.s3-ap-northeast-1.amazonaws.com
감정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Ekman(1984)의 얼굴 감정 인식의 범주형 이론 분류 방법을 사용한다. Ekman의 범주형 이론은 6가지 보편적인 감정으로 행복, 놀람, 혐오, 두려움, 분노, 슬픔으로 분류하고 있다[8].

Approaches To Emotion | Klaus R. Scherer, Paul Ekman | Taylor & Franci
This sourcebook is intended as a reader in the fullest sense of that word: a work that offers researchers and students alike the opportunity to examine the many
해야 할 것
- 지금까지 모은 dataset의 감정 다시 labeling하기
- crawling, 설문, emoset
[예산]
- 코랩
- 설문 비
- 학회 비
사단법인 한국인공지능학회
kiiss.or.kr
지피티한테 모델 넣고, 의도만 프롬프팅해서 맞춰보게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