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란?API 이전에 무엇을 해야할까?yarn 클래식 vs npm커밋을 세분화 하는것라이브러리 채택상태관리에 대해서단독으로 기술 사용도메인인스턴스화(이런식으로도 가능하다)마무리…
프로젝트란?
- 시간, 인력, 돈 같이 제한된 상황에서 진행된다.
→ 마감 기간동안 무엇이 중요한지에 대한 판단이 중요함.
→ 조금 더 남과 다른점을 보여줄수 있어야한다.
→ 내가 들은 것은 내 지식이 아님 ⇒ 내가 직접 써봐야 내 지식임
(누군가가 물어봤을때 설명을 해줄수 있어야 함)
react: 반응형 라이브러리, push pull(polling?) 기반 라이브러리이다 ⇒ 완전한 리액티브라고 할수 없다.
(구독하고 있는 부분이 상태가 업데이트 되어있으니 교체해라: push) - 완벽한 반응형
(계속해서 상태가 업데이트 되었는지 확인하고 바뀌면 교체: pull)
지금은 바뀌었을 수 있으니 조사해보자!
API 이전에 무엇을 해야할까?
- 인증(회원가입, 로그인)
- 모든 프로젝트에 들어가기때문에 특징이 없음.
- 여기에 들어가는 노력은 다른 기능에 들어가는 기능과 비례한다.
- 미리 만들어 놓을 수 있는것들 미리 만들어두기
- 공통적인 api 모듈 → api 서비스 구체화
yarn 클래식 vs npm
- 요즘에는 yarn 클래식과 npm의 차이가 사실상 없다.
- 캐싱, cli가 다름
- pnpm: 공통의 모듈 폴더를 가지고 있다. (심볼릭 링크)
커밋을 세분화 하는것
- 커밋을 하는것은 의미있는 변경이다.
- 미래의 나를 위해 또는 미래 내코드를 보는 개발자를 위해
- 따라서 커밋 컨벤션을 잘 활용하자!!
라이브러리 채택
- 팀원들과 상의해서 해당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해치더라도 그것 이상의 퀄리티를 향상시킬수 있는지를 생각해보자
commit lint 같은 경우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생산성은 낮아질 수 있음.
상태관리에 대해서
- 대기업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사용했을때의 득이 더 많기때문에 사용하는 것임
- context는 항상 전역으로 사용하는것만은 아니다.
⇒ 지역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해줌
- 다크모드/라이트모드, 언어, 인증같은 것들이 전역으로 주로 사용됨.
- 사용하는 목적이 있으면 써도 상관없음
단독으로 기술 사용
- 팀원들과 합의되면 상관없음
도메인
- 관심사 분리
Clean-Architecture
Domain Driven Design
인스턴스화(이런식으로도 가능하다)


- 하나의 axios instance를 유지시킬 수 있다.
- 노드 백엔드와 통신을 잘 할수있다. (노드 서버와 프론트에서 서로 import 할 수 있음?)
마무리…
해당 기술을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항상 생각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