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therapy association(british) → 기본적인 정보들 얻기 좋은 곳인듯
[1]
Efficacy of a Single Session Mindfulness-based Art Therapy Doodle Intervention(2023, Patricia Isis et al.), Art 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 미술치료가 효과있는지에 대한 논문
내용
Abstract
목적: art therapy가 a)mindfulness(마음챙김), b) mindful creativity, c) 긍정 및 부정적 감정 상태를 support, improve 하는지 확인
71명, 성인 참가자, 2시간 동안 참여
치료 전후로 self-reported 결과, a,b,c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Theoretical and Clinical Foundations
미술치료 접근법
- MBAT(Mindfulness-based art therapy)
-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을 기반으로 디자인
- 몸의 감각, 감정의 인식, 태도, 정신 상태의 인식에 중점
- 그림, 회화, 조각, 시 등과 같은 예술적 표현을 mind state와 연결지음
- MSCAT(Mindfulness self-compassion art therapy)
- FOAT(focusing-oriented art therapy), 초점지향 미술치료
- 고객과 외상 경험 및 치료적인 수용 간 간극을 허용
- COAT(compassion-oriented art therapy), 동정심 지향 미술 치료
- 수치심 완화, 수용 발전
- 위협적인 감정을 줄이기 위해 자기 진정에 참여하도록 돕는데 중점
- 모든 개입이 모든 경험에 자기 동정과 이를 가져오는 긍정 심리학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
Doodling(낙서)
내재적 감정에 접근하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 돕기 위해 warming up으로 많이 사용
- 시각적 표현이나 말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을 때 표현하는 부분에서 도움을 줌.
- Psychodynamic 관점에서, 자유로운 연상을 촉진 및 복잡한 경험 투영에 도움
- e.g. 만다라와 같은 원 내에서 그림을 그리거나 색칠하는 건 의식을 증가→ mindfulness technique으로 간주(불안 치료)
- 비언어적 감정에 접근해 고통을 감소 시킴
Single Session Mnidfulness-based Art Therapy
MBAT, MBSR → 8주 정도의 시간이 투자, 많은 과제들
Single Session → 적은 시간, 비슷한 효과 가능(여러 입증 사례들이 논문에 실려있음)
Methods
RPP방법(Retrospective pretest-posttest single group design)
- 실험 이후 데이터를 먼저 평가하고 실험 전 mindfulness를 생각해서 평가
- 참가자 부담 감소, 응답 이동 편향 문제 제거 등의 장점이 있음
Measures
- Demographic Questionnaire(인구통계학적 설문지)
- 참가자 개인 특성 설문(인종, 연령, 성 정체성, 직업, mindfulness, 미술에 대한 경험)
- Toronto Mindfulness Scale
- 13개의 항목, 5-point likert scale
- mindfulness를 평가
- Discrete Emotions Scale-Adapted
- 11개의 항목, 5-point likert scale
- 감정(분노, 행복, 두려움, 혐오)에 관한 설문지
- Non-Standardized Scales
- 수용, 평화로움, 사랑, 친절, 안전과 같은 긍정적-동정적 감정을 확인하기 위한 척도(6개 항목, 1(거의 없음)-5(매우 많음))
- 상상력, 창의성, 생각과 감정의 인식, 연결 등의 측면을 위한 척도(7-point likert scale)
Procedure
- Zoom을 통한 workshop
- 자료 준비(원이 그려진 흰 종이 2장, 연필, 지우개, 풀, 가위, 색칠도구)
- “종이 한장에 생각을 연필 또는 펜으로 비판이나 비난 없이 낙서하세요”
- “현재 자신에게 유익하게 느껴지는 부분을 색칠해보세요”
- “원한다면 색을 칠한 낙서에서 보관해두고 싶은 부분을 자르고 다른 종이의 미리 그려진 원이 있는 곳에 풀로 붙이세요. 도움이 될때까지 계속 작업하세요”
- “자신의 작업물을 촬영하고 서로에게 소개해주세요”
- RPP를 통해 평가
Data Analysis
- paired-t test
- variable: mindfulness(마음챙김), mindful creativity, happiness, positive emotions, anger, fear
Results
mindfulness, mindful creativity, hapiness, positive emotion이 유의하게 증가
anger, fear가 유의하게 감소
Discussion
의도적으로 doodling을 하는 것이 현재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인식을 높인 것으로 보임.
잘라내고 붙이는 과정에 의해 만들어진 시각적 요소의 변형이 긍정적 감각을 증진시켰을 것이라 가설 제시
참가자 interview → 분노 감소, 작품을 공유하며 parter와 의미 있는 connection이 있었다.
미술작품을 만드는 동안의 과정이 회복과 치유를 지원할
[2]
DeepThInk: Designing and probing human-AI co-creation in digital art therapy(2024, Xuejun Du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 Computer Studies
→ 미술치료사와 AI의 협업을 통해 만든 tool DeepThInk